본 연구는 판화의 교육에서의 변환(교과서에서의 적용)을 연구하였다. 먼저 판화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기존 교과서에서는 어떻게 변환되었는지 언급하였다. 다음으로 판화교육의 의미와 목적에 대해서 알아보고 새로운 교육에서의 변환방법을 모색하였다. 새로운 모색방법은 이해, 표현, 감상을 통합적으로 한 교수-학습 활동 안을 제시하려고 노력했으며, 판화만이 갖는 주제 표현(간접표현, 복수미술), 표현 재료와 용구(재료의 특성이 나타나고 제작과정), 표현 방법(입체를 평면으로 표현)의 특성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Ⅱ. 판화란 무엇인가
판화는 인쇄 기술을 조형 작업에 끌어들인 독특한 표현 영역이다. 그리고 인쇄의 원리이기 때문에 판이라는 매체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판 자체가 완성된 작품은 아니므로 간접 표현이며, 또 여러 점을 찍어낼 수 있기 때문에 복수미술이기도 하다. 이윤구, 미술실에서 미술관까지, 두산동아, 1998, P : 450
1. 판화의 특징과 역사 이윤구․김영환 공저, 하이탑 미술, 동아출판사, 1991
(1) 판화의 특징
① 간접 표현 : 잉크를 칠해 찍어 내는 것.
② 복수 미술 : 판을 이용하여 똑같은 작품을 여러 장 찍어낼 수 있다.
③ 제작 과정 : 밑그림 → 제판 → 인쇄의 과정
④ 독특한 미 : 판재, 압력, 제작 방법 등에 따라 독특한 미를 갖는다.
(2) 판화의 역사
① 목판화 :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어 기원이 모호함.
② 동판화 : 서양에서 15세기 중엽 독일의 숀가우어
③ 석판화 : 18세기 이후
· 김동영외 5명, 미술교육학, 교육과학사, 2001
· 임정기, 중등학교 교원양성대학을 위한 미술과 교재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 출판사
· 이윤구, 미술실에서 미술관까지, 두산동아, 1998
· 이윤구․김영환, 미술, 동아출판사, 1991
· 노부자, 윤양희, 안금희, 오금숙, 김규봉, 중학교 미술1, 지학사, 2000
· 노부자, 윤양희, 안금희, 오금숙, 김규봉, 중학교 미술2, 지학사, 2001
· 김기숙외 7명, 중학교 미술1, 대한교과서, 2000
· 김기숙외 7명, 중학교 미술2, 대한교과서, 2001
· 고승혜외 4인, 중학교 미술1, 두산, 2000
· 고승혜외 4인, 중학교 미술2, 두산, 2001
· 홍명섭외 1명, 중학교 미술1, 삻과 꿈, 2000
· 홍명섭외 1명, 중학교 미술2, 삻과 꿈, 2001
· 노영자, 이인숙, 중학교 미술1, 교학사, 2000
· 노영자, 이인숙, 중학교 미술2, 교학사, 2001
· 서석례외 2명, 중학교 미술1, 중앙교육진훙연구, 2000
· 서석례외 2명, 중학교 미술2, 중앙교육진훙연구, 2001
· 김정희 외6명, 중학교 미술1, 교학연구사, 2001
· 노영자, 이인숙, 고등학교 미술, 교학사, 2001
· 홍선표외 4명, 고등학교 미술, 시공사, 2001
· 홍명섭외 2명, 고등학교 미술, 천재교육, 2001
· 한운성외 2명, 고등학교 미술, 금성출판사, 2001
· 이현표외 6명, 고등학교 미술, 대한교과서,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