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고전번역원 (http://www.itkc.or.kr)
· 金時習, 『梅月堂集』
· 李珥, 『栗谷全書』
· 李耔, 『梅月堂集』
· 李滉, 『退溪集』
· 김명희, 「김시습의 인(仁)사상과 그 실천논리」,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1.
· 문범두, 「梅月堂의 儒家的 理念과 金鰲新話」, 『韓民族語文學』권30, 한민족어문학회 , 1996.
· 이길원, 「金鰲新話에 나타난 金時習의 思想 硏究」,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4, p.28.
· 임동주, 「雪岑 金時習의 倫理觀 硏究 - 佛敎思想을 中心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1989
· 정미현, 「김시습의 작가의식 연구 - 金鰲新話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6.
· 강동엽, 『조선 지식인의 문학과 현실 인식』, 박이정, 2008.
· 강풍기·고미숙·정출헌·조현설, 『고전문학사의 라이벌』, 한겨레출판, 2006.
· 김병기,신정일,이덕일, 『한국사의 천재들』, 생각의 나무, 2006.
· 리가원·허경진 옮김, 『금오신화·매월당집』, 한양출판, 1995.
· 민족문학사연구소 고전문학분과, 『한국고전문학작가론』, 소명출판, 1998.
· 박희병, 『韓國傳奇小說의 美學』, 돌베개, 1997.
· 박희병, 『유교와 한국문학의 장르』, 돌베개, 2008.
· 송재소, 「매월당 김시습의 시」, 『몸은 곤궁하나 시는 썩지 않네』, 한길사, 2003.
· 심경호, 『김시습평전』, 돌베개, 2003.
· 이홍순·주홍성·주칠성, 『한국철학사상사』, 예문서원, 1993.
· 정병욱, 「김시습연구」, 『한국고전의 재인식』, 홍성사, 1979.
· 정병욱, 「自我와 世界의 小說的 代決에 관한 試論」,『韓國小說의 理論』, 1977
· 정주동, 『梅月堂 金時習 硏究』, 민족문화사, 1983.
· 정학성, 「조선 전기의 비판적 문학」, 『민족문학사 강좌』上, 창작과 비평사, 1995.
· 조동일, 「小說의 成立과 初期小說의 類型的 特徵」, 『韓國小說의 理論』, 1977.
· 진경환, 「‘탈주’와 ‘해체’의 기획 – 매월당 김시습」, 『한국고전문학작가론』, 소명출판, 1998.
· 최귀묵, 『김시습의 사상과 글쓰기』, 소명출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