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진표의 미륵신앙 - 신라 사회와 진표의 미륵신앙의 관계에 대하여

진표(眞表)는 신라 중대의 인물로, 신라 하대까지 영향력을 미친 불교문화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로, 그 행적이나 활동 시기에 대한 의문과 논란이 많은 인물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진표의 행적을 기록한 사료 중 《삼국유사》의 <진표전간>(이하 <전간>)과 <관동풍악발연수석기>(이하 <석기>), 그리고 《송고승전》의 <진표전>을 중심으로 여러 의문들을 조명하고 분석해보고자 한다.
1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4.07.01 최종저작일 2013.06
13P 미리보기
진표의 미륵신앙  - 신라 사회와 진표의 미륵신앙의 관계에 대하여
  • 미리보기

    소개

    진표(眞表)는 신라 중대의 인물로, 신라 하대까지 영향력을 미친 불교문화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로, 그 행적이나 활동 시기에 대한 의문과 논란이 많은 인물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진표의 행적을 기록한 사료 중 《삼국유사》의 <진표전간>(이하 <전간>)과 <관동풍악발연수석기>(이하 <석기>), 그리고 《송고승전》의 <진표전>을 중심으로 여러 의문들을 조명하고 분석해보고자 한다.

    목차

    1. 서론 및 사료 강독

    2. 진표의 생애
    1) 진표 연보
    2) 진표의 출생과 행적

    3. 《점찰경》과 미륵신앙
    1) 《점찰경》
    2) 진표의 수행
    3) 점찰법회와 교법 활동

    4. 신라 사회와 진표의 미륵신앙
    1) 신라 민중
    2) 신라 왕실
    3) 지방 세력

    5. 결론

    본문내용

    진표(眞表)는 신라 중대의 인물로, 신라 하대까지 영향력을 미친 불교문화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로, 그 행적이나 활동 시기에 대한 의문과 논란이 많은 인물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진표의 행적을 기록한 사료 중 《삼국유사》의 <진표전간>(이하 <전간>)과 <관동풍악발연수석기>(이하 <석기>), 그리고 《송고승전》의 <진표전>을 중심으로 여러 의문들을 조명하고 분석해보고자 한다. 여기서 가장 핵심이 되는 <석기>의 원문을 강독하면 다음과 같다.

    關東楓岳鉢淵藪石記 <此記乃寺主瑩岑所撰 承安四年己未立石>
    眞表律師 全州碧骨郡都那山村大井里人也 年至十二 志求出家 父許之 師往金山藪順濟法師處零染 濟授沙彌戒法 傳敎供養次第秘法一卷 占察善惡業報經二卷曰 汝持此戒法 於彌勒地藏兩聖前 懇求懺悔 親受戒法 流傳於世
    師奉敎辭退 遍歷名山 年已二十七歲 於上元元年庚子 蒸二十斗米 乃乾爲粮 詣保安縣 入邊山不思議房 以五合米 爲一日費 除一合米養鼠 師勤求戒法於彌勒像前 三年而未得授記
    發憤捨身嵓下 忽有靑衣童 手捧而置石上 師更發志願 約三七日 日夜勤修 扣石懺悔 至三日手臂折落 至七日夜 地藏菩薩手搖金錫 來爲加持 手臂如舊 菩薩遂與袈裟及鉢 師感其靈應 倍加精進 滿三七日 卽得天眼 見兜率天衆來儀之相 於是地藏慈氏現前 慈氏磨摩師頂曰 善哉大丈夫 求戒如是 不惜身命 懇求懺悔
    地藏授與戒本 慈氏復與二栍 一題曰九者 一題八者 告師曰 此二簡子者 是吾手指骨 此喩始本二覺 又九者法爾 八者新熏成佛種子 以此當知果報 汝捨此身 受大國王身 後生於兜率 如是語已 兩聖卽隱 時壬寅四月二十七日也
    師受敎法已 欲創金山寺 下山而來 至大淵津 忽有龍王 出獻玉袈裟 將八萬眷屬 侍往金山藪 四方子來 不日成之 復感玆氏從兜率 駕雲而下 與師受戒法 師勸檀緣 鑄成彌勒丈六像 復畫下降受戒威儀之相於金堂南壁 像於甲辰六月九日鑄成 丙午五月一日 安置金堂 是歲大曆元年也
    師出金山向俗離山 路逢駕牛乘車者 其牛等向師前 跪膝而泣 乘車人下問 何故此牛等見和尙泣耶 和尙從何而來 師曰 我是金山藪眞表僧 予曾入邊山不思議房 於彌勒地藏兩聖前 親受戒法眞栍 欲覓創寺鎭長修道之處 故來爾 此牛等外愚內明 知我受戒法 爲重法故 跪膝而泣

    참고자료

    · 박광연, 「眞表의 占察法會와 密敎 수용」, 『韓國思想史學』 26, 한국사상사학회, 2006
    · 박미선, 「眞表 占察法會의 成立과 性格」, 『韓國古代史硏究』 49, 한국고대사학회, 2008
    · 윤여성, 「新羅 眞表의 佛敎信仰과 金山寺」, 『전북사학』 11, 전북사학회, 1989
    · 이기백, 「眞表의 彌勒信仰」, 『新羅思想史硏究』, 一潮閣, 1986
    · 정미숙, 「眞表의 彌勒信仰과 理想社會論」, 『지역과 역사』 7, 부경역사연구소, 2000
    · 조인성, 「彌勒信仰과 新羅社會 : 眞表의 彌勒信仰과 新羅末 農民蜂起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人文硏究論集』 24,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7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