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자료
· 이문구, 『다갈라 불망비』, 솔출판사, 1996
· , 『『장한몽1, 2』, 책세상, 1995
· , 『해벽』, 창작과 비평사, 1993
· , 『관촌수필』, 문학과 지성사, 1995
· , 『우리동네』, 솔출판사, 1996
· , 『유자소전』, 벽호, 1994
· , 『산너머 남촌』, 창작과 비평사, 1990
· , 『다가오는 소리』, 삼중당, 1995
· , 『정통 한국문학 대계22』, 어문각, 1984
· , 『한국 현대 문학 전집』, 삼성출판사, 1985
· , 「김동리 선생에 대한 추모글」, 『월간문학』, 조선일보사, 1995
· , 심사평 「소설문학」, 『소설문학사』, 소설문학사, 1981
· , 「청진동 시대와 김동리 선생」, 『한국문학』, 1995
· 2. 단행본 및 평론
· 강승원, 「이문구」, 『문제작, 문제작가』, 동선사, 1983
· , 「농촌 문학은 평론의 대상이 아닌가」, 『소설문학』, 소설문학사, 1986
· , 「관촌에서 우리동네까지」, 『소설문학』, 소설문학사, 1981
· 권오룡, 「넉넉한 해학정신」, 『주간조선』, 조선일보사, 1990
· 권혁범, 「구체적 사실주의와 사회적 의식화의 조화」, 『신동아』, 동아일보사, 1980
· 김만수, 「땅의 근본과 사람의 도리에 대한 성찰」, 『한국 소설문학 대계22』, 동아출판사, 1995
· 김명인, 「농촌 세태 기록한 장편 농민소설」, 『출판저널』, 1990
· 김병익, 「관찰과 성찰」, 『세계의 문학』, 민음사, 1982
· 김영화, 「위기속의 농촌」, 『분단상황과 문학』, 국학자료원, 1992
· 김용직, 『한국 현대 명작 해설』, 관악출판사, 1989
· 김우창, 「근대화속의 농촌」, 『세계의 문학』, 1981
· 김윤식, 「문체의 힘」, 『한국 문학 현대사』, 일지사, 1992
· , 『80년대 우리 소설의 흐름』,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 김인환, 「소설의 변증법」, 『문학과 지성』, 1979
· , 「체험의 문체」, 『창작과 비평』, 1977
· 김종철, 「사회변화와 전통적 가치」, 『창작과 비평』, 1978
· , 「작가의 진실성과 문학적 감동」, 『농민문학론』, 온누리, 1983
· 김주연, 「산업화 문화충격, 문화산업시대의 의미」, 『문학을 넘어서』,
· 문학과 지성사, 1988
· , 「폐쇄사회 인정주의 이데올로기」, 『나의 칼은 나의 작품』, 민음사, 1975
· 김치수, 「농촌소설은 가능한가」, 『지성』, 일신사, 1971
· , 「농촌소설의 의미와 확대」, 『공감의 비평을 위하여』, 문학과 지성사,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