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휘원 (2006). “한국 다문화사회의 형성 요인과 통합 정책.” 국가정책연유 20(2), 5-34. 교육과학기술부 (2009). “09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계획(안).”
· 교육과학기술부·시도교육청 (2008). “다문화가정 학생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지원방안” 김남국 (2005). “다문화 시대의 시민; 한국사회에 대한 시론.” 국제정치논총 45(4), 97-121. 김미윤 (2005). “현대 대중사회에서의 다문화교육 쟁점들.” 청소년문화포림 12, 50-79.
· 김복영 (2008). “다문화시대의 배려교육과정; 사회자 소수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05-117.
· 김선혜, 오은순 (2008).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의 현황 및 발전 방향” 초등교육 학술대회 논문집, 173-191.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 김선미, 김영순 (2008). 다문화교육의 에해 서울; 한국문화사.
· 김욱동 (1998). “다문화주의의 도전과 응전” 미국학논즙, 30(1), 29-49.
· 김이선, 황정미, 이진영 (2007). “다민족 ·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1):
· 한국사회의 수용 현실과 정책과제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김지현 (2008).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주의와 교육” 철학연유 106, 29 52.
· 김헌민, 김유미, 박지현 (2008). “다문화 사회의 정책적 이슈에 대한 고찰.” 한국정책학회 하 계학술대회 논문집 3, 603-622.
· 김형수 (2008). “한국 다문화 정책공동체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동훔oJ논총 46, 127
· 김홍운, 김두정 (2007). “한국 사회의 다문화 현상과 교육적 과제.” 안문학연유 34(3), 153 176.
· 박경동 (2008). “다문화가족 형성과 갈등에 대한 연구 -한국의 광주 · 전남지역 사례를 중심 으료 · 청소년문화포렴, 18, 140 174.
· 박상철 (2008). “다문화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과정 정책.” 초등교육연유 21(2), 1 19.
· 박성혁 (2007).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정책 추진현황 과제 및 성과 분석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 박채복 (2008). “한국 이주자 사회통합정책의 방향과 과제 ” 한국동훔oJ논총 46, 253 274. 보건복지가족부 (2008).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강화대책.”
· 서 혁 (2007). “다문화 가정 현황 및 한국어교육 지원 방안.” 안간연유 12, 1 24.
· 설규주 (2004). “세계시민사회의 대두와 다문화주의적 시민교육의 방향.” 사화과 교육 43(4), 31-54.
· 설기문 (1996). “남북한 교육의 다문화주의적 접근.” 연세교육학연유 9, 1 9.
· 설동훈, 이혜경, 조성남 외 (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 복지 지원 정책 방안,” 여성가족부
· 안경식, 김동광, 김향은, 김회용, 박천응, 이철호, 장인실 (2008). 다문화 교육의 현황과 과제 서울 학지사.
· 양승태 (2007). “똘레랑스, 차이성과 정체성, 민족 정체성, 그리고 21세기 한국의 민족주의.” 정치사상연구, 13、 %각8.
· 양승현 (2007). “통일교육의 다문화교육적 접근에 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양영자 (2008). “한국 다문화교육의 개념 정립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오경석, 김희정, 이선옥, 박홍순, 정진헌, 정혜실 외 (2007). 한국에서의 다문화쥬의· 현질과 챙정. 서울; 도서출판 한울.
· 오만석, 김경일, 김병조, 김복수, 은기수, 조동기 (2008). 다문화 사화의 사회통합을 외한 조 사연규 한국학중앙연구원.
· 오성배 (2005). “코시안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 32(3), 61-83.
· 오성배, 강태중, 이기범 (2008).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지원 중장기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 원숙연 (2008). “다문화주의시대 소수자 정책의 차별적 포섭과 배제 외국인 대상 정책을 중 심으로 한 탐색적 접근”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1, 523 549.
· 유네스코 아시아 · 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편) (2008). 다문화사화의 에해· 다문화 교육의 현질 과 전망 경기 도서출판 동녁.
· 윤회원 (2006). “다문화가정 지원 우수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 이경수 (2008). “프랑스 다문화 교육의 역사와 현황.” 초등교육 학술대회 논문집, 209-220.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 이경호 (1997). “다문화사회의 대두와 시민교육의 과제; 관용성을 중심으로.” 사화와 교육 25, 279-303.
· 이삼식, 박종서, 김필숙, 김형석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결혼 · 출산행태와 정책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순태 (2007). “다문화사회의 도래에 따른 외국인의 출입국 및 거주에 관한 법제연구.” 한 국법제연구원
· 이용승 (2007). “독일의 다문화 가족 정책.” 민족연대, 31, 113-129.
· 이종열, 황정원, 노지영 (2008). “다문화정책의 거버넌스 접근; 인천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3, 77 95.
· 이재분 (2008).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교육실태 ” 다문화아동토론회 발표논문.
· 장미영 (2008). “여성결혼이민자의 자기정체성 형성을 위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한국연어문 학, 64, 356-인9.
· 장미혜 등 (2008). “다민족 ·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II): 다문화 역 량 증진을 정책 · 사회적 실천현황과 발전 방행총괄보고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장세룡 (2007). “다문화주의적 한국사회를 위한 전망.” 안문연유 53, 307-348.
· 조기제 (2003). “다문화사회에서의 민주시민교육 심의민주주의 교육의 필요성.” 한국만츄시 민교육학회보 7, 95 108.
· 조영달 (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교육인적자원부.
· 조영달, 박윤경, 이정우, 이경수 (2006). “다문화교육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인식 조사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 천선영 (2004). “다문화사회 담론의 한계와 역설 ” 한목사회과학논총 14(2), 363 380.
· 최상근, 박효정, 서근원, 김성봉 (2004). “교육소외 계층의 교육실태와 정책과제 ” 한국교육개 발원.
· 최인철 (2008). “다문화 사회의 심리적 도전과 과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 집, 93 101.
· 최 헌 (2007).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m마1C띠rural citαεnship): 다문화 의식을 중심으로.”시민사회와 NGO, 5(2)、 147 174.
· 한국사회학회 (2007).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이론화.” 동북아시대위원회.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다문화사회를 향한 전망과 정책적 대응.”
· 한형서 (2008). “독일에서 외국인 증가에 따른 딜레마와 사회통합정책.” 국제지역연유 11(4), 447-478.
· 황규호, 양영자 (2008). “한국 다문화교육 내용선정의 쟁점과 과제 ” 교육과정 연유 26(2),
· 홍진주 (2005). “몽골출신 이주노동자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 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