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일본사] 사이고 다카모리의 정한론과 그 성격

"[일본사] 사이고 다카모리의 정한론과 그 성격"에 대한 내용입니다.
1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3.05.25 최종저작일 2003.05
11P 미리보기
[일본사] 사이고 다카모리의 정한론과 그 성격
  • 미리보기

    목차

    Ⅰ. 머리말

    Ⅱ 대외적 위기상황과 사이고 다카모리의 정한론
    1. 불평등조약 개정운동의 실패와 정한론의 대두
    2. 사이고 다카모리의 정한론과 그 특질

    Ⅲ 불평사족의 대두와 정한론에 대한 반향
    1. 명치정부의 제정책(諸政策)과 불평 사족의 대두
    2. 사이고 다카모리의 정한론에 대한 반향

    Ⅳ. 맺음말

    본문내용

    1. 불평등조약 개정운동의 실패와 정한론의 대두

    1612년이래 장기간 쇄국정책을 취하고 있던 일본 근해에 고래잡이배(捕鯨船)들이 출현하기 시작한 것은 1820년대이며, 1830년대 이후부터 60년대 까지 미국의 포경선이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나게 되었다. 미국은 포경선에 대한 땔나무와 물 등이 점점 절실해졌을 뿐 아니라 점차 증가하는 대중국 무역을 위해서도 태평양 횡단항로의 중개지점으로서 연료공급지와 태풍을 피할 피항지가 필요했고 그 대상으로 일본의 개항이 절실해졌다. 당시의 증기선은 샌프란시스코와 상해를 단번에 항해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1852년 미국의 사령관 페리(Matthew C. Perry : 1794∼1858)가 4척의 군함을 이끌고 三浦반도의 浦賀에 도착하여 미국의 국서를 수리하라고 요구하였다. 흑선(黑船)의 위용과 장착된 대포, 승선한 3백여명의 병력의 위협에 놀란 막부는 국서를 수리하고 회답은 다음에 주기로 하여 일단 돌려보냈다. 미국의 국서에는 자유무역과 포경선등의 문제를 다루고 있었다. 강력한 미국의 개국요구를 접한 막부는 천황에게 이 사실을 보고하고, 모든 다이묘 들의 의견을 구하였다. 이는 전례없던 사실로 막부의 절대적인 전제(專制)적인 체제가 외부의 압력에 의해서 무너지기 시작하였음을 의미한다.
    1854년 페리는 전보다 더 많은 7척의 군함을 이끌고 회답을 받고자 왔다. 이에 막부는 1854년 3월 31일 미·일화친조약(美·日和親條約) 12조를 맺고 시모다(下田)·하코다테(箱館)의 개항과 미국대표의 일본주재를 인정하였다. 또한 일본이 다른나라에 부여하는 이익은 자동적으로 미국에도 적용된다는 최혜국대우도 규정하였다.

    참고자료

    · 연구서
    · 조명철외. 『日本人의 선택』. 서울 : 다른세상 , 2002.
    · 이노우에 키요시. 『일본의 역사』. 차광수 역. 서울 : 대광서림 , 1995.
    · 혜안기획실편. 『제국 흥망의 연출자들』. 서울 : 혜안 , 1995.
    · 한계옥. 『망언의 뿌리를 찾아서』. 서울 : 자유포럼 , 1998.
    · 유상종 저. 『한일관계사를 통한 일본을 바로알자』. 서울 : 학문사 , 2002.
    · 시바료타로. 『꿈꾸는 열도 정한론 - 사이고다카모리』. 정재욱 역. 서울 : 신원문화사
    · , 1995.
    · 박영재, 박충석, 김용덕. 『19세기 일본의 근대화』.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 1997.
    · 이규배. 『반일 그 새로운 시작』. 서울 : 푸른숲 , 1997.
    · 박경희. 『연표와 사진으로 보는 일본사』. 서울 : 일빛 , 1998.
    · 피터 두으스. 『日本近代史』. 金容德 譯. 서울 : 知識産業社 , 1983.
    · 閔斗基. 『日本의 歷史』. 서울 : 知識産業社 , 1976
    · 家永三郞 外 四人 共著. 『新日本史』. 姜亨中 譯. 서울 : 文苑閣 , 1995.
    · 李炫熙. 『征韓論의 背景과 影響』. 서울 : 大旺社 , 1986.
    · 朴英宰. 「近代日本의 韓國認識」.『日帝의 對韓侵略政策史硏究』. 趙恒來編著. 서울 : 玄音
    · 社 , 1996.
    · 諸洪一. 「西鄕隆盛과 征韓論政變」.『日帝의 對韓侵略政策史硏究』. 趙恒來編著. 서울 : 玄音
    · 社, 1996.
    · 崔埈. 「明治初期의 日本言論」.『日本의 侵略政策史硏究』. 歷史學會 編. 서울 : 一潮閣 ,
    · 1997.
    · 연구논문
    · 鄭源文. 「近代日本의 征韓論에 관한 硏究」. 고려대학교 석사(1976).
    · 金映佑. 「19世紀에 있어서 日本의 征韓論에 關한 一考察」. 한양대학교 석사(1983).
    · 金仁德. 「日本의 征韓論과 大院君政權의 對應」. 성균관대학교 석사(1887).
    · 林在植. 「日本 近代國家 形成에 關한 硏究 : 明治維新 思想을 中心으로」. 경희대학교 석사
    · (1995).
    · 朴光雄. 「西鄕隆盛과 大久保利通의 征韓論爭」. 부산외국어대학교 석사(1997).
    · 金世民. 「開港期 鎖國論과 征韓論의 性格硏究」. 강원대학교 석사(1989).
    · 신혜란. 「탈냉전기 일본의 국제적 역할의 연원에 대한 일고찰 : 정한론을 중심으로」. 카톨
    · 릭대학교 석사(2000).
    · 이도상. 「일본의 한국침략논리와 식민주의 사학」. 단국대학교 박사(2001).
    · 서정란. 「한일 양국 고등학교 교과서의 조선후기 한일관계사 서술방향」. 고려대학교 석사
    · (2001)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