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정폭력에 대한 이해1) 가정폭력에 대한 정의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르면 가정폭력은 가족 구성원 사이의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상 피해를 수반하는 폭력행위로 정의된다. 즉, 남편의 아내에 대한 폭력, 부모의 자녀에 대한 폭력, 자녀의 부모에 대한 폭력, 형제간의 폭력, 아내의 남편에 대한 폭력 등 가족 간의 모든 폭력을 망라하는 것이다. 또한 가족구성원의 범위를 현재의 가족뿐만 아니라 전 배우자 및 그와 동거하는 친족으로 확대하였다. 결국 가정폭력은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에 따라 폭력현상의 한 범주를 개념화한 것으로, 폭력의 주체와 대상 모두가 가족구성원으로 매우 친밀한 관계에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 장에서는 가정폭력의 여러 유형 중 남편에 의한 아내구타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그것이 가장 흔히 발생하는 가정폭력의 대표적인 형태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Hester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과의 사이에서 일어나는 폭력 중 90~97%는 남성이 여성에게 가하는 폭력이며, 여성의 경우는 종종 자기 방어의 수단 또는 배우자에게 받은 장기간의 폭력과 학대에 대한 반응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남편에 의한 아내구타는 경찰에 신고되는 가정폭력 중 90% 정도가 넘을 정도로 많다. 이처럼 남편에 의한 아내구타는 가정폭력의 여러 유형 중 가장 만연되어 있는 폭력이라고 할 수 있다. 가정폭력에 대한 개념에 따라 가정폭력의 발생 원인이나 법률적 대응전략은 달라진다.
1. 가정폭력의 개념정의에서는 크게 가정폭력 관점과 페미니즘 관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두 관점은 법률체계 면에서는 초점을 가정폭력에 둘 것을 요구하지만 그 발생 원인을 다르게 이해하기 때문에 서로 상이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두 관점의 차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단위에 있어서 가정폭력 관점은 가족체계에 두는 반면, 페미니즘 관점은 여성과 남성 사이의 관계에 둔다.
· 권진숙(1996). 배우자학대 부부집단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승권 외(2008). 가정폭력·성폭력 근절을 위한 중장기 방안 연구(여성가족부 연구보고서 2008-04).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승권(2009). 가정폭력·성폭력 실태 및 근절 방안.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연옥, 박인아(2000). 가정폭력의 유형별 관련성과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5, 103-127.
· 김은경(2001). 가정폭력범죄의 형사절차상 위기개입 방안 연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김은경(2006). 소송과정에서의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현황과 쟁점들. 서울여성의 전화 가정폭력 추방정책 연속토론회 3차 자료집.
· 김은경(2007). 가정폭력 예방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학교기반 가정폭력예방교육 프로그램 지침서. 서울: 여성가족부.
· 김인숙, 김혜선, 성정현, 신은주, 윤영숙, 이혜경, 최선화(2000). 여성복지론. 서울: 나남.
· 김인숙, 김혜선, 신은주(1997). 여성운동과 사회복지: 학대받는 여성의 쉼터 연구. 서울: 나남.
· 김재엽(1995). 가정폭력의 실태와 임상개입에 관한 연구: 재미한인가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 86-107.
· 김재엽(1998). 가정폭력의 태도와 행동 간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 87-114.
· 김혜선(1995). 구타의 발생과 지속과정에 관한 연구: 매 맞는 아내에 대한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혜선(1996). 매 맞는 아내를 위한 쉼터의 실태와 대책. 한세정책, 5월호, 23, 105-121.
· 박경숙(2000). 한국의 가정폭력 정책과 서비스전달체계. 보건복지부, 통합적 가정폭력 대응 전달체계 수립을 위한 국제회의 자료집.
· 박미연(2001). 가정폭력에 대한 지역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실태와 종사자의 인식에 관한연구. 숭실대학교 사회사업학과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영란(2000). 지역사회자원연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보건복지부, 가정폭력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대토론회 자료집.
· 박영란, 황정임(2000). 여성에 대한 폭력에 관한 서비스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 백연옥(2000). 가정폭력 개입전략개발. 보건복지부의 가정폭력 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세계은행 프로젝트. 서울: 보건복지부.
· 박인선(2000). 가정폭력 예방 전략 개발 보고서-보건복지부의 가정폭력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한 세계은행 프로젝트. 서울: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2000). 가정폭력 감소를 위한 서비스 연계모델 개발.
· 서울여성의전화(2000). 상담통계.
· 신명화(1999). 학대받는 아내의 능력고취를 위한 집단사회사업실천의 효과성.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고 박사학위논문.
· 신은주(1995). 아내학대에 대한 페미니스트 접근에 관한 사회사업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신은주(2000). 가정폭력과 공적전달체계. 보건복지부, 가정폭력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대토론회 자료집.
· 심영희(1996). 가부장적 테러리즘의 발생유지기제와 사회적 대책.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창립 40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가정폭력, 그 실상과 대책’.
· 여성가족부(2008). 2007년도 전국가정폭력실태조사.
· 윤영숙(1995). 성폭력상담의 서비스체계: 성폭력상담의 실제.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 이승렬(1995). 아내구타에 대한 사회적 대책 및 쉼터 운영에 대한 비교연구. 계명대학교 여성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원숙(1998). 아내학대 피해자 및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을 위한 연구: 페미니즘, 구성주의 및 매 맞는 여성의 관점에서. 강남대학교 논문집, 2, 333-387.
· 최구련, 유은희, 홍숙자, 정혜정(1999). 가정폭력 예방 및 대처 프로그램 모형개발: 배우자 학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7(2), 159-173.
· 한국여성개발원(1993). 가정폭력의 예방과 대책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 한국여성의전화(1992). 쉼터보고서 1. 서울: 한국여성의전화.
· 한국여성의전화연합(2008). 가정폭력 피해자 안전할 권리, 제대로 확보되고 있나?. 가정폭력추방정책 토론회 자료집.
· 한국형사정책연구원(1992). 가정폭력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한인섭(1996). 가정폭력에 대한 법적 대책.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창립 40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가정폭력, 그 실상과 대책’.
· Breslau, N., & Davis, G. C. (1987).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etiologic specificity of wartime stressor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4, 578-583.
· Dobash, R. E., & Dobash, R. P. (1979). Violence against wives: A case gainst Patriarchy. New York: Free Press.
· Dobash, R. E., & Dobash, R. P. (1992). Women, violence and social change. London & New York: Routledge.
· Edelson, J. (2000). Training counselors and school social workers in family violence. 보건복지부, 가정폭력 예방과 개인에 관한 국제 워크숍 자료집.
· Ferraro, K. J., & Johnson, J. M. (1983). How women experience battering: The process of victimization. Social Problems, 30(3), 325-339.
· Files-Sims, J. (1983). Wife-beating: A systems theory approach New York: Guilford.
· Hanmer, J., Radford, J., Stanko, E. A. (1989). Women, policing and male violence. London: Routledge.
· Hofeller, K. (1983). Battered women, shattered lives. Palo Alto, CA: R & E Research Associates.
· Kurz, D. (1993). Social science perspectives on wife abuse: Current debates and future directions. In P. B. Bart & E. G. Moran (Eds.), Violence against women: The bloody footprints(pp. 252-269). New York: Sage.
· Mckay, M. M (1994). The link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child abuse: Assessment and treatment considerations. Child Welfare, 1, 29-39.
· McShane, C. (1979). Community services for batterrd women. Social Work, 24, 34-38
· Pence, E., & Paymar, M. (1993). Education groups for men who batter: The Duluth model. New York: Springer.
· Renzetti, C. (2000). Family violence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An overview and evaluation with recommendations for the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보건복지부, 통합적 가정폭력 대응 전달체계 수립을 위한 국제회의 자료집.
· Sarri, R. (2000). 가정폭력 정보 및 관점의 국제비교의 중요성. 가정폭력 예방 전략 개발 보고서-보건복지부의 가정폭력 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세계은행 프로젝트.
· Stalans, L. J., & Lurigio, A. J. (1995), Responding to domestic violence against women. Crime and Delinquency, 41, 387-398.
· Straus, M. A., Gelles, R. J., & Steinmetz, S. K. (1980). Behind closed doors: Violence in the American family. New York: Doubleday.
· Walker, L. E. (1984). The Battered Woman syndrome. New York: Spr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