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사회복지실천 이론과 역사의 개요 조사와 사회복지실천의 기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연구 리포트A+

본 리포트를 활용한다면 꼭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1. 본 리포트는 사회복지실천론 수업에서 A+를 받은 우수 리포트 입니다. 2. 본 리포트를 활용하여 좋은 결과가 있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2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4.01.11 최종저작일 2014.01
21P 미리보기
사회복지실천 이론과 역사의 개요 조사와 사회복지실천의 기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연구 리포트A+
  • 미리보기

    소개

    본 리포트를 활용한다면 꼭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1. 본 리포트는 사회복지실천론 수업에서 A+를 받은 우수 리포트 입니다.
    2. 본 리포트를 활용하여 좋은 결과가 있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목차

    1. 사회복지실천과 비판적•창조적 사고
    1) 비판적 사고
    2) 창조적 사고

    2.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목적
    1) 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개념
    2)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목적

    3.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와 발달
    1) 미국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2)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4. 사회복지실천의 기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1) 사회복지실천의 기능
    2) 사회복지사의 역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회복지실천과 비판적•창조적 사고

    1) 비판적 사고
    인간은 개인과 사회의 역사 속에서 탐구의 과정을 반복하며 지식(knowledge)을 축적하고 전승하게 된다. 이는 일부 영장류 동물들도 할 수 있는 사회적 배움(social learning)에 의한 것이 아니라 상호주관적인(intersubjective) 존재로서 의미를 만들고(meaning making) 협력(collaboration)할 수 있는 인간에 의한 문화적 배움(cultural learning)을 통해 가능한 것이다. 과거 탐구 결과의 의미를 과학적으로 밝혀내는 것이 어려웠던 원시시대에는 주술과 신비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샤머니즘과 토테미즘 등에 의존하여 앎을 규명하려 하였다. 이와 더불어 시행착오를 통한 경험의 축적은 상식과 전통을 구축하며 앎을 규정하고 후세에 전달하게 되었다. 그러나 단순한 경험의 축척과는 달리 지식이란 진실이라고 규명된 믿음과 그 진실을 믿는 합당한 이유를 포함해야 한다(Runkle, 1985).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정보를 단편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넘어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탐구하려는 태도를 바탕으로 지식을 발견(discovery)하고 분석(interpretation)할 수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
    지식, 특히 과학적 지식은 재생산되는 것으로 이는 상식과 전통에 기반을 두어 세대를 거쳐 전수되어 온 앎으로부터 진리를 향한 과학적 접근으로의 앎과 지식으로 진보와 발전을 거듭하며 쌓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전인습은 이습으로, 비전문은 전문으로 전진할 수 있게 하는 가장 큰 축은 기존의 앎에 의문을 제기하는 호기심과 탐구적 접근이 바탕이 된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이다. 비판적 사고는 2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Socrates에 의해 시작된 것으로, Platon의 변증법과 Bacon의 과학적 문제해결법을 거쳐 현대로 접어들면서 Dewey의 반영적 사고(reflective thinking)를 기반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발전되었다(Seelig, 1991; Fisher, 2001).

    참고자료

    · Seelig, J. M.(1991). Social Work and the Critical Thinking Movement. Journal of Teaching in Social Work, 5(1), 21-34.
    · Runkle, G.(1985). Theory and Practice; An introduction to philosophy. New York:: CBS College Publishing
    · 홍선미(2003). 사회복지실천이론의 실체와 의미. 한국사회복지하괴 2003년도 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25-38.
    · Kirst-Ashman, K. K.(2007). Introduction to social work and social welfare: critical thinking perspectives(second edition). Belmont: Thomson Brooks/Cole.
    · Bailin, S., Case, R., Coombs, J. R., & Daniels L. B.(1999). Conceptualizing Critical Thinking.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1(3), 285-302.
    · Dewey, J.(1916). Democracy and Education. New York: Free Press.
    · Seelig, J. M.(1991). Social Work and the Critical Thinking Movement. Journal of Teaching in Social Work, 5(1), 21-34.
    · 김만두(2000). 전문사회복지실천과 임상사회사업 실천의 관계 개념에 대한 논의. 임상사회사업연구회 엮음. 사회복지실천과 임상사회사업. 학문사.
    · 조휘일 외(2005). 사회복지실천기술론. 학현사.
    · 이원숙(2008). 사회복지실천론. 학지사.
    · 이영분 외(2005). 사회복지실천론. 동인.
    · Skidmore, R. A., & Thackeray, M. G.(1976). Introduction to social work(2nd ed.). NJ: Pentice-Hall. Inc.
    · Briggs, H. E., & Corcoran, K.(2001). Social work practive: Treating common client problems. Lyceum.
    · 장인협(1989). 사회복지실천론(상). 서울대학교 출판부.
    · Pumphrey, M.(1959). The Teaching of Values and Ethics in Social Work Education. N.Y.: Council on Social Work Education.
    · Johnson, L. C., & Yanca, S. J.(2001). Social work practice: A generalist approach. Massachusetts: Allyn and Bacon.
    · Morales, A. T., & Sheafor, B. W.(2001). Social work: A profession of many faces(9th ed.). MA: Allyn & Bacon.
    · Johnson, L. C., & Yanca, S. J.(2001). Social work practice: A generalist approach. Massachusetts: Allyn and Bacon.
    · 정중화(1990). 실증주의와 생활세계 위기의 관계-기술적 의식에 대한 하버마스의 비판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Oevermann, U., Tillman, A., Konnau, E., & Krambeck, J.(1987). Structures of Meaning and Objective Hermeneutics. In Volker Meja, Dieter Misgeld, Nicholas Stehr(Eds.), Modern German Sociology(pp. 436-447). New York: Colimbia University Press.
    · 이준우, 이화옥, 임원선(2006). 사례와 함께 하는 사회복지실천론. 인간과 복지.
    · 엄명용, 김성천, 오혜경, 윤혜미(2000).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학지사.
    · Kirst-Ashman, K. K., & Hull, G. H. Jr.(2009). Understanding Generalist Practice. (5th ed.) Brooks/Cole, Cengage Learning.
    · 김혜련 외 공역(2004). 임상사회사업. 학지사.
    · Malduccio, A. N.(1981). Promoting Competence in Clients: A New/Old Approach to Social Practice. New York: The Free Press.
    · 김상균 외(2001). 사회복지개론. 나남.
    · Compton, B., & Galaway, B.(1989). Social Work Processes(4th ed.).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 양옥경 외(2005/2006). 사회복지실천론. 나남.
    · 양정남, 최선령(2005).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