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복정(2012), 한국의 다문화가족정책 및 서비스의 현황분석, 다문화사회연구 제5권 1호
· 김승권, 김유경, 강복정, 신숙자, 최준영(2010), 다문화가족 교육관계자 지원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방안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왕근(1999), 세계화와 다중 시민성 교육의 관계에 관한 연구, 시민교육연구
· 김이선, 민무숙, 최은희(2010, 다문화가족지원사업 추진체계 개선방안 연구, 서울: 여성가족 부.
· 김종석(1995), 미국인의 종교에 대한 지적 관심 분야: 미국 종교학의 성립과 발달, 한국학 술진흥재단 대학부설연구소.
· 김홍수(2009), 전지구화 시대의 다문화 한국사회와 시민권, 동북아 문화연구
· 김혜순(2008),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험: 최근 다문화담론의 사회학, 한국 사회학 제42집 2호
· 박진경(2010), 한국 중앙정부 공무원의 다문화정책 정향성 영향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 박희정(2010), 다문화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 서범석(2010), 다문화교육정책의 현황과 발전방향 탐색,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은숙(2009), 다문화시대 한류의 정체성과 방향,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 제14호.
· 설동훈(2007), 국제노동력이동과 외국인노동자의 시민권에 대한 연구-한국·독일·일본의 사 례를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인권 제7권 제2호.
· 신명숙(2011), 다문화사회와 사회통합정책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 신재주(2010), 일본, 독일, 호주의 다문화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사회과학연구 제17권 3호
· 오경석(2007), 어떤 다문화주의인가?:다문화사회 논의에 관한 비판적 조망; 한국에서의 다 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서울: 한울아카데미.
· 오세영(2011), 다문화가족지원 사회복지서비스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교육지원서비스 중심 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원숙연, 박진경(2009), 다문화사회와 외국인정책에 대한 정향성 분석; 중앙정부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47집 제3호
· 유은경(2009), 미국의 이민정책과 다문화주의: 히스패닉 동화 논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 유정석(2008), 캐나다 다문화주의의 현실과 쟁점, 민족연구
· 유진이 외(2007), 다문화가족 지원센터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지 제5권 제3호
· 윤동화(2009), 다문화가정 지원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이경숙(2011),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교사지원개발에 관한 연구: 문화다양성과 다문화적 효능감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용승(2009), 다문화주의 정책유형 결정요인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유진(2009), 캐나다의 이민자 통합정책 레짐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 구소
· 이재분(2008),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 실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이재분·강순원·김혜원(2008),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실태 연구: 국제결혼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 이재분, 김혜영, 이해영(2009), 다문화가족을 위한 통합적 교육지원방안 탐색 및 프로그램 개발(I): 다문화가족 교육지원 실태·요구분석 및 대응방안 탐색, 서울: 한국교육개발 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창언(1999), 캐나다의 사회정책과 소수민족 이민사, 영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이충훈(2007), 국제 이주노동의 정치경제학: 미국을 중심으로, 시민사회와 NGO 5권1호.
· 이태주(2010), 호주의 이민정책과 다문화주의 담론, 이민인종연구회.
· 이혜경(2008), 다문화사회의 이해: 차이와 공존·변화와 방향, 한국사회의 이해.
· -----(2008), 다문화가족정책 및 서비스: 다문화가족복지론,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 장준희(2009),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의 한국사회 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경기도 하남시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상균, 이승우, 전진희(2006), 다문화가족 지원법제의 현황과 과제, 민주주의와 인권 제8권 1호,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 조현상(2010), 한국 다문화주의의 특징과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 정주신(2007), 새터민 가족의 적응과 문제, 한국가족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
· 조영달(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 교육 실태조사, 교육인적자원부.
· 최종렬(2008),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패러다임과 국가별 유형비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최현미, 이혜경, 신은주, 최승희, 김연희, 송성실(2008), 다문화가족복지론, 서울: 양서원.
· 표명환(2009), 재한 결혼이주여성의 국가적 보호에 관한 법적 고찰, 공법학연구
· 한석실(2006), 다문화 시대 유아교사교육의 방향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1)
· 황범주(2008),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정책 분석,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감사원(2011), 감사결과 처분요구서-다문화가족 지원사업 추진실태.
· 교육과학기술부, 2012 교육통계.
· 국무총리실(2011), 2010년 일자리사업 체감도 조사
· 법무부, 2008 출입국외국인 정책본부 연감.
· 법제처(2011), www.moleg.go.kr.
· 여성가족부(2011), 다문화가족정책의 현황 및 개선방안.
· 통계청(2012), 인구동태통계연보.
· 한겨레신문, 2003년 12월 3일자 보도자료.
· Stalker, P. (The)No-nonsense guide to international migration, 김보영 역(2004), 국제 이주, 고양: 이소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