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문제의 제기
1995년부터 추진된 행정구역개편, 특히 시군통합을 비롯한 도농통합의 행정구역의 수평적 확대는 광역행정수요의 증가를 가져왔다. 이 같은 행정서비스는 쓰레기와 폐기물처리 등의 혐오시설설치에서부터 교통과 지역개발에 이르기까지 주변자치단체와의 협력을 요구하는 광역행정서비스들이었다. 그러나 현재에 이르러서, 단독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방행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관념이 주를 이루는 까닭에, 결과적으로 행정서비스 전달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보다는 대부분 구역의 개편을 중심으로 한 시군통합과 같은 극단적 정책들이 추진되어 왔다.
이러한 광역행정서비스의 수요의 증가에 대하여 미국과 영국 등 외국의 사례를 보면 지방 공공서비스 전달체계의 개선을 위해 기존의 정형화 된 지방정부의 영역을 넘어서서 다양한 전달체계와 탄력적인 제도들이 도입되어 실시되고 있다. 이 제도들은 구역에의 개편 등의 하드웨어적인 측면의 수정보다는 기존의 자치권을 인정하는 전제하에서 대안적 로컬 거버넌스 체제를 모색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같은 관점에서, 우리나라에서 계속되어 온 광역행정체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특별지방자치단체 도입 및 관계정립방안(이은재, 1997; 금창호 외, 2004), 민관협력 차원에서의 지역혁신협의회 연구(김석태․이영조, 2004) 등 초점화되고 구체적인 사례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졌을 뿐 광역행정체제 전반을 조망하고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의 특수성을 비교 및 평가하며 발전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또한 기존 연구들은 광역행정체제를 중심으로 한 지방행정 서비스 제공방식을 연구함에 있어서 대안적 제도들을 갈등사례의 해결을 위한 목적의 일부로서 고려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방자치제도는 그 실시 이래로 계속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어느덧 10년을 훨씬 넘어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시점에 도달하였다. 이 같은 지방자치가 더욱 성숙하기 위해서는 획일성과 통일성을 강조하는 지방행정에서 다양성과 자율성을 강조하는 지방행정으로 나아가야 한다.
· 강인성,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변화와 혁신의 모색 : 광역행정체제 혁신을 중심으로」, 창조와 혁신(Creativity & innovation) 제2권 제1호, 피터드러커소사이어티 2009. 2.
· 강인성; 박치성, 「지방자치단체 광역행정체제의 실증적 분석 : 현행 광역행정체제의 분석과 대안 광역행정체제의 탐색」, 한국정책학회, 2008
· 광명시 환경 67100-1112('96. 7. 25.)호의 "구로구 소각장 건설부지 입지 재검토(변경) 요망" 참조.
· 금창호, 「지방자치단체조합의 활성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제246권, 1997
· 김명현; 유지태,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에 의한 사무처리제도의 개선방향」, 한국법제연구원
· 김순환, "환경혐오시설 빅딜로 지역 님비현상 극복한다", 문화일보 ISSUE 진단, 문화일보, p. 84-90.
· 문현주, "지역폐기물의 효율적 관리와 님비 및 지역 간 분쟁의 조정", 『환경리포트』제5호, 1995, p.122.
· 민경호, "우리나라 광역행정 발전방향", 月刊 自治發展. 9권 8호 통권100호, 한국자치발전연구원(2003. 8.), p. 56-62
· 박종화, "우리 나라의 광역행정", 月刊 自治發展. 7권 11호 통권79호, 한국자치개발연구원 (2001. 11), p. 28-39.
· 송두범,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사업의 추진실태와 개선방안 : 지역협의체 협력사업을 중심으로", 대전: 충남발전연구원, 2004, p. 13.
· 양수아, "광역행정의 관점에서 지방행정체제간 기능조정에 관한 연구 : 환경분야에서 광역행정체제와 특별지방행정기관의 기능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7.8
· 윤영채, "입지갈등 해결전략으로써의 환경기초시설 빅딜 사례연구", 지방정부연구 제8권 제4호, 한국지방정부학회 (2004. 겨울), p.51-71
· 이규환, 『도시행정론』, 서울 : 녹원출판사, 1990, p. 546.
· 이은재, 「특별지방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간 관계정립방안」, 지방행정연구, 12(3), 1997
· 이명원, "공동정책결정을 통한 자치단체간 집단갈등의 해결과정 분석 : 서울시 구로구와 경기도 광명시를 중심으로", 서울 :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2010.8, p. 76.
· 박수영, 『도시행정론』, 서울 : 법문사, 1995, p. 379.
· 박우서, 『외국의 광역행정 실태』, 도시문제지, 7월호, 1987, p. 67.
· 정주용, "성공적 갈등해결전략으로써 협상의 성공요인 : 환경기초시설 빅딜사례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제10권 1호 (2004. 6.),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p. 193-238
· 조만형; 김이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광명시와 구로구간 환경기초시설 빅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0권 제2호, 『서울행정학회』,2009년 8월, p. 228.
· 조창현, 『지방자치론』, 서울 : 박영사, 1995, p.236.
· 지방자치단체(광명시-구로구) 간 환경기초시설 빅딜 정책사례", 『중앙공무원교육원』, 중앙공무원교육원 2006.11.20, p. 2.
· 최경열, "지방정부간 협동적 환경정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광명시와 구로구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 한양대학교 지방자치대학원, 2002.8, p. 26.
· 최창호, 『지방자치제도론』, 서울 : 남양문화인쇄, 1994, p.235.
· 한표환 외, "자치단체간 협력사업 활성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2-06호 제350권, 서울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2, p.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