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상현 외, 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 서울:한나래, 1995.
· 강석주■박경훈, 불교근세백년, 서울:중앙일보사, 1980.
· 공보처, 정기간행물 편람, 서울:공보처, 1996.
· 곽해선, 매스컴과 친구하기, 서울:한국생산성본부, 1993.
· 김광식■이철교, 한국근현대불교자료전집 해제판, 서울:민족사, 1996.
· 김규, 방송미디어, 서울:나남, 1996.
· 김숙현, 기사 취재에서 작성까지, 서울, 범우사, 1994.
· 김재일, 방송이해, 서울:보리방송모니터회, 1993.
· 김정기 편, 실천PR론, 서울:전예원, 1983.
· 미래사회를 향한 불타의 가르침 편찬위원회, 미래사회를 향한 불타 의 가르침, 서울:대한불교진흥원, 1995.
· 박경욱, PR■PR, 서울:인간사랑, 1994.
· 박유봉 외, 신문학 이론, 서울:박영사, 1994.
· 송효빈, 체험적 신문론, 서울:나남, 1993.
· 岸本英夫■松本滋, 최현각 역, 종교학■종교심리학, 서울:불교시대 사, 1993.
· 언론연구원 총서(16), 언론과 수용자, 서울:한국언론연구원, 1994.
· ■■■■■■■ (17), 전문기자, 서울:한국언론연구원, 1994.
· 유일상, 매스미디어와 열린 세상, 서울:경인문화사, 1995.
· ■■■, 사람과 방송, 서울:청년사, 1996.
· 이상우■류창하, 현대신문제작론, 서울:나남, 1993.
· 차배근, 커뮤니케이션학 개론, 서울:세영사, 1995.
· 최정호 외, 매스미디어와 사회, 서울:나남, 1995.
· 최진봉, 기독교 커뮤니케이션 이해, 서울:이진, 1996.
· 최창섭, 교회와 미디어 각론, 서울:성바오로출판사, 1978.
· ■■■, 교회 커뮤니케이션, 서울:성바오로출판사, 1993.
· ■■■, 방송총론, 서울:법문사, 1995.
· 한정섭, 불교포교의 방법과 실제, 경기 가평:불교통신교육원, 1981.
· 홍사성 편, 불교상식백과, 서울:불교시대사, 1993.
· Denis Mcquail, 오진환 역,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 서울:나남, 1994.
· Singletary & Stone, 김재범 역,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조사 실습, 울:한나래, 1993.
· Ⅱ.논문류
· 박경준, 원시불교의 사회■경제사상연구, 동국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4. 이영숙, 한국특수방송에 대한 청취자들의 의식과 태도에 관한 실증 적 연구, 연세대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5. 황용회, 불교경전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이론적 분석, 동 국대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4. .
· Ⅲ.기타 자료.
· 가톨릭 매스컴위원회, `96 가톨릭매스컴 전국대회 자료집 <새시대와 가 톨릭언론의 사명>, 1996.11.
· 대한불교진흥원, 한국불교총람, 1993.
·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1961.
· 문화부, 한국의 종교현황, 1990.
· 법보신문, 1996.9.18. 3면
· 불교신문, 1990. 1. 17. 6면
· 불교신문 창간 30주년 기념 세미나 자료집, <정법포교의 당간 다시 세운다>, 1990.11.
· 조계종 개혁회의 법제 위원회, `불교포교의 개혁방향` 자료집,
· 1994. 조계종 종단 법령집, 1985.
· ■■■■■■■■■, 1995.
· 조계종 포교원. 제1차 포교사 연수 교육 자료집, 1995.5.
· ■■■■■■ . 한국불교 중흥을 위한 포교 청사진, 1995.7.
· ■■■■■■ , 제9차 월례<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