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론
2.반도체 산업의 특성
3. 한국 반도체 산업의 구조
4. 국내 반도체 산업의 발전과정
5. 한국 반도체 산업의 위상
● 결 론
7. 한국 반도체 산업의 발전방향
본문내용
2. 반도체 산업의 특성
반도체 산업은 반도체장비 제조업 또한 반도체 주변산업의 하나로서 소자 제조업과 공통된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고부가가치산업이다. 전형적인 지식기반산업으로서, 고급 두뇌인력을 활용한 R&D에 사업의 성패를 건다. 하드웨어 비중보다 소프트웨어 비중이 커서(장비별로 다소 편차가 있으나) 전공정 장비의 경우 Set당 판매가격이 수십만∼일천만불 상회(노광기 및 Mask 제작용 패턴형성기)하는 반면, 첨단 부분품 등 생산 원재료 구입비는 30% 내외에 불과하다. 장비 제조업이 주로 창출하는 가치는 설계(System Design)를 중심으로 조립, 검사측정(Test & Evaluation), 설치 및 시운전(Set up & Start up service), A/S 등이다.
둘째, 기술혁신이 급속히 진행중인 高Risk 산업이다. 한 세대 반도체 장비 부문에서 시장을 석권한 기업이라 해도 지속적인 R&D를 통해 차세대 반도체 공정기술의 전개방향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준비하지 않으면 도태되는 수밖에 없다. 칩이 빠른 속도로 고집적, 고기능, 초경량화하는 데 따라서 반도체 공정기술 또한 빠른 속도로 변천하고 있으며, 반도체장비란 바로 이러한 반도체 공정기술을 발현해 놓은 상품이기 때문이다.
세째, 경기순환에 민감한 산업으로서, 반도체 설비투자(장비산업 경기) 사이클이 실리콘 사이클의 진폭 보다도 오히려 더 크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