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보존과 미래
- 최초 등록일
- 2003.04.01
- 최종 저작일
- 2003.04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많이 이용해주시구여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목차
바이오스피어2
***바이오 스피어 2가 실패한 구체적인 이유 설명
바이오스피어 2 (Biosphere 2)
Biosphere2 이용...
용늪 내의 사진
람사협약
람사 협약의 정의정식명칭
본문내용
람사협약은 1971년 2월 이란의 람사(Ramsar)에서 조인되어 75년 12월 발효된 정부간 협약으로 정식명칭은 ‘물새 서식지로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Wetland of International Importance Especially as Waterfowl Habitat)이다.
명칭만으로 볼 때 물새 보호 협약이 아닌가 오해할 수도 있지만 습지가 물새 서식지인 것 외에도 어류,양서류,파충류,포유류와 식물 등 종다양성을 유지하고 인간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한다는 점에서 람사협약은 매우 폭넓은 의미를 지닌다. 생태적으로 중요한 습지는 다른 나라의 토지일지라도 지구 전체의 자원이라는 관점에서 보호하자는 것.
미국 에리조나주 투손(Tucson) 사막에 1991년 9월 26일부터 2년 동안 남녀 8명이 거주하는 실험이 있었다. 미래 우주 도시 건설이나 지구의 미래 환경을 위한 자료를 얻기 위해 지구의 생물권과 유사하게 만든 이 인공적인 생물권을 바이오 스피어 2 라고 명명하였다.
총 면적은 1만 3000m2(축구장의 약 1.5배)인데 외부를 모두 유리로 막아 격리시켰으며, 내부는 거주 구역, 농업 구역, 자연 구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자연 구역에는 열대우림, 사바나, 습지대, 바다, 사막의 다섯 생물권으로 구성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