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등학교 문법 교사용지도서, 서울대학교국어교육연구소,(주)두산.
· 고영근(1985), 표준 국어문법론, 탑출판사.
· 고영근(1987), 표준 중세국어문법론, 탑출판사.
· 고재종(1965), ㆆ, ㅇ 음가고, 국어국문학논집 6, 동국대
· 권재선(1991),훈민정음의 음운분석, 서재극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 권재선(1992),훈민정음의 표기법과음운, 우골탑.
· 김문웅(1979),15세기 국어의 'ㅭ'종성에 대한 연구, 여천 서병국박사 회갑기념논문집.
· 김문웅(1980), 'ㆆ'의 표기법 고찰, 난정 남광우 박사 회갑기념 논총.
· 김문웅(1981), 'ㆆ'의 범주와 그 기능, 국어국문학 86, 국어국문학회.
· 김민수(1984), 신국어학사.
· 김윤경(1946), 나랗말본, 한글 12권 2호, 한글학회.
· 김종택 외5명(1993), 신국어학, 형설출판사.
· 김태엽(1997), 문법 형태 변화와 분포환경, 어문론총, 경북어문학회.
· 김태엽(2001), 기능어의 문법화, 우리말글, 우리말글학회.
· 김흥규(1962), 증보 국어사 연구, 일조각.
· 김흥수(1975), 중세국어의 명사화 연구, 국어연구 34.
· 서영석(1977), ㅇ, ㆆ고,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영석(1984), 중세국어 후음의 연구, 국어학신연구1, 홍문각.
· 서영석(1991), ㆆ음의 음운론적 고찰, 동국어문론집 5.
· 심수근(1992), 후음 「ㆆ」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안병희(1968), 중세국어의 속겨어미-ㅅ에 대하여, 이숭녕박사송수기념논총, 을유문화사.
· 오정란(1985), 각자병서의 음가고, 소당 천시권박사 회갑기념 국어학논총, 형설출판사.
· 왕문용(1982), 입성 기능에 대한 가설, 국어학11, 국어학회.
· 유창균(1966), 동국정운연구, 형설출판사.
· 유창균(1994), 국어학사, 형설출판사.
· 유창돈(1962), 15세기 국어의 음운체계, 국어학 1, 국어학회.
· 이기문(1963), 국어표기법의 역사적 고찰, 한국연구원.
· 이기문(1972), 국어사개설(개정판), 탑출판사.
· 이기문(1976), 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면 문제, 진단학보 42.
· 이기문(1977), 국어음운사연구, 탑출판사.
· 이기문(1978), 15세기 표기법의 일고찰, 언어학 제 3호, 한국언어학회.
· 이남덕(1968), 15세기국어의 된소리고, 이숭녕박사송수기념논총.
· 이숭녕(1972), 중세국어문법(개정증보판), 을유문화사.
· 이승욱(1972), 국어문자의 연구사, 국어국문학 58·60, 국어국문학회.
· 이익섭(1963), 15세기 국어의 표기법 연구, 국어연구 10.
· 이익섭(1992), 국어표기법 연구, 서울대출판부.
· 이현규(1968), 간음 'ㅅ'고, 국어국문학연구 제11집, 영남대.
· 이현규(1976), 훈민정음 자소체계의 수정, 조선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회.
· 이현규(1982), 사이시옷의 형태와 기능, 한글 제176호, 한글학회.
· 이희승(1955), 삽요어(음)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논문집, 2.
· 임홍빈(1981), 사이시옷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국어학 10, 국어학회.
· 전철웅(1976), 현대 한국어의 경음화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철웅(1990), 사이시옷,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 정호완(19<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