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case study
- 최초 등록일
- 2013.10.09
- 최종 저작일
- 2013.04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일반적 배경 (General Information)
2. 건강력(Health History)
3. 신체검진(Physical Examination)
4. 영양
5. 개인위생
6.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7. 정서적 상태
8. 규칙적인 운동 실시 여부
9. 수면과 휴식 및 스트레스, 건강관리
10. 성기능
11. 영적욕구
12. 진단검사
13. 약물
14. 처치
15. 수술 방법 및 과정의 서술
16. 간호과정
본문내용
입원일 : 3월 29일
수술명 : Lap STG
수술일 : 4월 1일
2. 건강력(Health History)
1) 가족력(familiy history)
- 아버지 위암으로 사망(수술 받지 않았음)
2) 과거 건강력(past medical history)
①과거 질환: HBP, DM
②수술 경험: 안양 샘 병원에서 ESD
3)현 병력(present health state)
① 입원 전부터 입원까지의 상태
: 상기 환자는 본원 입원 전 안양 샘 병원에서 ESD 시행하였으나 재검시 scar에 재발 생겨 본원으로 의뢰됨
: 본원 입원 시 V/S-130/90, P-76, R-20, T-36.0
<중 략>
간호계획
6. 대상자의 vital sign을 측정한다.
7. 대상자의 체온 상승 정도를 예측한다.
8. 체온을 하강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9. 이완요법으로 불쾌감을 완화시킨다.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 vital sign을 15분 간격으로 측정한다.
① 수술부위 감염 시 T, P, R, BP가 상승한다.
② 수혈 시 부작용이 발생하였을 때, 체온이 상승한다.
2. 대상자에게 추운 느낌이 있는지(오한의 여부) 확인한다.
: 오한이 발생한 후 체온이 더 많이 상승한다.
3. 대상자가 찬 공기를 쐴 수 있게끔 산책을 권유하거나 Ice Bag을 제공한다.
: 투약 없이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먼저 사용한다.
4. 보호자와 산책이나 심호흡으로 불쾌감을 진정시킨다.
: 대화나 심호흡을 통해서 신체와 정서를 이완시키거나 관심을 다 른곳으로 전환하면 불쾌감이 경감된다.
인 건강증진 활동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운동증진 사업을 보건소에서 추진할 수가 있는 자원이 아직 충분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일선에서 주도적으로 건강증진 사업을 담당해야 할 ‘준비된 인력’이 매우 부족하며, 운동증진을 포함한 건강증진을 위한 재정적인 자원 확보도 쉽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기술적 및 행정적인 지원도 아주 미미하였다.
참고 자료
기본간호학 Ⅰ, Ⅱ , 송경애 외, 수문사
기본간호중재와 수기 , 임난영 외, 수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2), 원종순외, 현문사
약학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