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성서적관점에서 본 정의

"성서적관점에서 본 정의"에 대한 내용입니다.
1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3.10.01 최종저작일 2013.09
13P 미리보기
성서적관점에서 본 정의
  • 미리보기

    목차

    1. 개념의 정의
    2. 유목시대의 사회적 정의
    3. 왕조시대의 사회적 정의
    4. 예언자들의 사회 정의
    5. 신명기 개혁 운동에 나타난 사회 정의
    6. 제 2성전 공동체 시대의 정의
    7. 중간사 시대의 사회정의
    8. 예수 시대의 사회정의
    9. 바울 시대의 사회정의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개념의 정의
    근대 한국 사회는 혈연과 지연으로 대표되는 전통적 가치관이 빠른 속도로 붕괴되었다. 그러나 이를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관이 아직 형성되지 못했다. 이러한 와중에 후기 산업 사회의 부정적 징후들, 사회적 무책임성, 폐쇄성으로 대별되는 극단적 개인주의 등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하여 사회적 정의 역시 크게 위협받게 되었다.
    정의(正義)를 브리테니카 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定意)한다 : “질서를 정립하고 특히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고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 원리 또는 일군의 원리.” 플라톤은 정의를 덕목, 즉 윤리적 원리로 파악했다. 그는 정의를 불균형한 것들에게서 균형을 추구하는 것, 즉 불균형한 것의 완전한 제거나 부인이 아닌, 갈등의 조정이라는 관점에서 보았다. 그 후 정의의 문제는 평등을 이루는 방향으로 흐르게 되었다. 정의의 문제를 체계적으로 구축한 최초의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의를 사회적 원리로 이해했으며, 배분적 정의와 평균적 정의를 구분했다.

    <중 략>

    그러나 현실은 이와는 달랐다. 제 2 이사야의 휘황찬란한 약속들과는 너무도 거리가 멀었다. 팔레스타인으로 돌아온 초기의 상황은 참으로 ‘작은 일의 날’ (참조 슥 4, 10)의 연속이었다. 국제적으로는 약소국으로서의 무수한 한계점을 누출시켰다. 새롭게 출발하는 신생 독립국은 주변 나라들에 비해 허약하였다.
    새롭게 출발하는 신생 독립국의 허약성을 피부로 체험하면서 제 2 성전 공동체의 지도자들은 제의 규정의 정비를 통하여 사회 질서 체제를 확립코자 했다. 동시에 정복과 지배를 통한 국가의 힘을 증대시켜 민족의 자존을 지키고 강한 나라가 될 것을 기원하는 증대의 신학을 전개해 나갔다 (참조 창 1장 26-28절과 창 9장 1-7절).
    이와는 달리 다른 지도자 집단, 아마도 소수의 집단에서는 정복과 지배의 철학을 포기하고 나라와 나라 사이의 공동체 정신과 평화 공존의 길을 제시하였다. 이스라엘의 제 2 성전 공동체 시대의 소수의 지도자들은 이스라엘 민족의 존립과 미래를 새롭게 바라보고 있다. 국제 무대에 평화를 정착시켜, 나라의 안녕을 지키고자 했으며, 더 나아가 약소국으로서 세계 무대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찾았다. 그 길만이 정복과 지배의 철학에서 전환하여, 함께 살아가는 평화의 세계를 이루는 길이라 보았다.

    참고자료

    · 밀러/헤이스, 《고대 이스라엘 역사》, 서울 : 크리스찬 다이제스트 1996.
    · 브리테니커 세계 대백과사전, 법철학, 1993.
    · 브리테니커 세계 대백과사전, 정의, 1993.
    · 한동구, “신명기와 사회적 상황 - 방법론적인 성찰을 중심으로”, 신학 논총 1 (1995), 35-58
    · 한동구, 신명기 개혁 사상에 나타난 종교 개혁 사상, 기독교 사상 433 (1995년 1월), 119-140
    · 한동구, 이스라엘의 왕도, 복음과 세계 4 (1994), 11-56.
    · 한동구, 나그네에 대한 (구약) 성경적 연구, 평택대학교 사회과학 연구 1999년 제 2 집.
    · 한동구, 모압 땅에서의 율법 해설과 계약, 현대와 신학 18 (1994), 137-152.
    · 한동구, 음식 규정에 나타나있는 평화 사상, 기독교 사상 424 (1994년 4월), 130-148
    · 한동구, 《고대 이스라엘의 사회사》,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1.
    · Betz, H.D. (강원돈역), 《갈라디아서》 (국제성서주석), 한국신학연구소 1990.
    · Bright, J., (박문재역), 《이스라엘 역사》,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88.
    · Crusemann, F. (김상기역), 《토라》, 한국 신학 연구소 1995, 311-315.
    · Marshall, I. H. (강요셉역), 《루가복음》I.(국제성서주석 31/1), 한국신학연구소 1983.
    · Aharoni, Z., Das Land der Bibel. Eine historische Geographie, Neukirchenen - Vluyn 1983.
    · Albertz, R., Religionsgeschichte Israels in alttestamentlicher Zeit 1-2 (ATDE 8), Gottingen 1992.
    · Alt, A., Kleine Schriften zur Geschichte des Volkes Israel I-III, Munchen 1968.
    · Bayer, O., Freiheit als Antwort. Zur thologischen Ethik, Tubingen : Mohr 1995.
    · Bohlemann, P., Jesus und Taufer, Schlussel zur Theologie und Ethik des Lukas (Society for New Testament Studies 99), Cambridge Uni. Press 1997.
    · Claus, M., Geschichte Israels. Von der Fruhzeit bis zur Zerstorung Jerusalems (587 v. Chr.), Munchen 1986, 69.
    · Finkel, A., Gerechtigkeit II, TRE, 411-414.
    · de Geus, C. H. J., Die Gesellschaftskritik der Propheten und die Archaologie, ZDPV 98(1982).
    · Han, Dong-Gu, Das Deuteronomium und seine soziale Konstellation, Frankfurt-Diss 1993.
    · Neu, R., Von der Anarchie zum Staat, Neukuchener 1992.
    · Otto, E., Wandel der Rechtsbegrundungen in der Gesellschaftsgeschichte des Antiken Israel (Studia Biblica III), 1988.
    · Rosel, H., Haus, BRL, Tubingen 19772, 138-141.
    · Schramm, M., Gerechtigkeit, LTK IV., Freiburg : Herder 1995, 498-500.
    · Sigrist, Ch., & R. Neu (Hg.), Ethnologische Texte zum Alten Testament Bd. 1 : Vor- und Fruhgeschichte Israels, Neukirchenen-Vluyn 1989.
    · de Vaux, R., Das Alte Testament und seine Lebensordnungen I/II, Freiburg i.B. 19642/19662.
    · Wellhausen, J., Gemeinwesen ohne Obrigkeit, Rede zur Feier des Geburtstages seiner Majestat des Kaisers und Konige am 27. Januar 1900, Gottingen : Vandenhoeck - Ruprecht 1900.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