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글 아][한자성어][한자숙어]한글 아 한자성어, 한글 아 한자숙어, 한글 아 사자성어, 한글 아 고사성어, 한글 아 사훈, 한글 아 격언, 한글 아 명언, 한글 아 속담 분석

2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3.09.09 최종저작일 2013.09
22P 미리보기
[한글 아][한자성어][한자숙어]한글 아 한자성어, 한글 아 한자숙어, 한글 아 사자성어, 한글 아 고사성어, 한글 아 사훈, 한글 아 격언, 한글 아 명언, 한글 아 속담 분석
  • 미리보기

    목차

    Ⅰ. 한글 아 한자성어
    1. 어불성설
    2. 언문풍월
    3. 언어도단
    4. 언중유골
    5. 언즉시야
    6. 엄이도중
    1) 풀이
    2) 동
    3) 속담
    4) 고사
    7. 여리박빙
    8. 여반장
    9. 여산진면목
    1) 풀이
    2) 고사

    Ⅱ. 한글 아 한자숙어
    1. 유아독존(唯我獨尊)
    2. 유야무야(有耶無耶)
    3. 음풍농월(吟風弄月)
    4. 이란격석(以卵擊石)
    5. 이소사대(以小事大)
    6. 이율배반(二律背反)
    7. 이하부정관(李下不整冠)
    8.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
    9. 인순고식(因循姑息)
    10. 일구월심(日久月深)
    11. 일기당천(一騎當千)
    12. 일망무제(一望無際)
    13. 일면여구(一面如舊)
    14. 일사천리(一瀉千里)
    15. 일어탁수(一漁濁水)

    Ⅲ. 한글 아 사자성어
    1. 일언이폐지(一言以蔽之)
    2. 일엽지추(一葉知秋)
    3. 일우명지(一牛鳴地)
    4. 일이관지(一以貫之)
    5. 일일삼추(一日三秋)
    6. 일장춘몽(一場春夢)
    7. 일조지분(一朝之忿)
    8. 일진일퇴(一進一退)
    9. 일촉즉발(一觸卽發)
    10. 일취월장(日就月將)
    11. 일파만파(一波萬波)
    12. 일필휘지(一筆揮之)
    13. 임갈굴정(臨渴掘井)
    14. 입실조과(入室操戈)
    15. 입향순속(入鄕循俗)

    Ⅳ. 한글 아 고사성어
    1. 요동지시(遼東之豕)
    2. 요령부득(要領不得)
    3. 요원지화(燎原之火)
    4. 욕속부달(欲速不達)
    5. 용두사미(龍頭蛇尾)
    6. 우공문(于公門)
    7. 우공이산(愚公移山)
    8. 우도할계(牛刀割鷄)
    9. 우사생풍(遇事生風)
    10. 우익이성(羽翼已成)
    11. 우화등선(羽化登仙)
    12. 운용지묘(運用之妙)
    13. 원교근공(遠交近攻)
    14.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15. 원입골수(怨入骨髓)
    16. 월단평(月旦評)
    17. 월하빙인(月下氷人)
    18. 위편삼절(韋編三絶)
    19. 유교무류(有敎無類)
    20. 유능제강(柔能制剛)
    21. 유비무환(有備無患)
    22. 유자가교(孺子可敎)
    23. 유좌지기(宥坐之器)
    24. 유지경성(有志竟成)
    25. 은감불원(殷鑑不遠)
    26. 음덕양보(陰德陽報)
    27. 읍참마속(泣斬馬謖)

    Ⅴ. 한글 아 사훈
    1. 原淸則流淸, 原濁則流濁(원청칙유청, 원탁칙유탁)
    2. 原濁者, 流不淸(위탁자, 유불청)
    3. 爲大不足以爲大(위대부족이위대)
    4. 爲善無近名(위선무근명)
    5. 爲善最樂(위선최락)
    6. 爲人下者, 其猶土也(위인하자, 기유토야)
    7. 有治人無治法(유치인무치법)
    8. 殷鑑不遠(은감불원)
    9. 飮水思源(음수사원)
    10. 以善先人者, 謂之敎(이선선인자, 위지교)
    11. 仁敬世守(인경세수)
    12. 人無遠慮心有近憂(인무원려심유근우)

    Ⅵ. 한글 아 격언

    Ⅶ. 한글 아 명언

    Ⅷ. 한글 아 속담
    1. 아무 때 먹어도 김가가 먹을 것이다
    2. 아무리 바빠도 바늘 허리에 매어 쓰지 못한다
    3. 아무리 쫓기어도 신발 벗고 갈 수 있나?
    4. 아버지는 아들이 잘났다고 하면 기뻐하고, 형은 아우가 더 낫다면 노한다
    5. 아병 장화 속 같다
    6. 아비만한 자식 없다
    7. 아쉬워 엄나무 말뚝
    8. 아쉬워 엄나무 방석이라
    9. 아욱 장아찌
    10. 아이 가진 떡 없게
    11. 아이 낳는데 속곳 벗어 달랜다
    12. 아이는 사랑하는 데로 붙는다
    13. 아이는 사르고 태는 태운다
    14. 아이는 칠수록 운다
    15. 아이도 사랑하는대로 붙는다
    16. 아이도 안 낳고, 포대기부터 장만한다
    17. 아이들이 아니면 웃을 일이 없다
    18. 아이를 보느니 콩밭을 맨다
    19. 아이 말 듣고 배 딴다
    20. 아이 보는 데는 찬물도 못 마신다
    21. 아이보다 배꼽이 더 크다
    22. 아이 보채듯 한다
    23. 아이 싸움이 어른 싸움 된다
    24. 아저씨 아저씨 하고 길짐만 지운다

    본문내용

    3) 속담

    - 눈 가리거 야옹한다.
    - 입 가리고 고양이 흉내.
    - 머리카락 뒤에서 숨박꼭질 한다.

    4) 고사

    晉나라 육경(六經)중의 한 사람인 범씨(范氏)는 중행씨(中行氏)와 함께 다른 네 사람에 의해 망하게 되었다. 범씨가 망하자 혼란을 틈타 범씨의 종을 훔치러 들어온 자가 있었다. 그러나 종이 매우 무거워 지고 갈 수가 없어 종을 깨뜨려 가지고 가면 되겠다고 생각하고「망치로 그것을 치니 종이‘쨍’하는 소리가 잇어 사람들이 그것을 듣고 자기의 종을 빼앗을까 두려워 재빠르게 그의 귀를 막았다.(以椎毁之하니 鐘?然有音하여 恐人聞之而奪己하여 遽掩其耳하다. 」고 한다.(呂氏春秋)椎(몽둥이 추) 毁(훼손할 훼) ?(금옥소리 갱) 恐(두려울 공) 奪(빼앗을 탈) 遽(갑자기 거)

    ☞또 하나가‘그런데 어쩐지 좀 수상한 냄새가 나는 것 같군?’할라치면 하나가 서슬이 시퍼래서「향깃허구먼 그러시우?」하고 새수 빠진 소리를 하는 것을 지천을 하던 것이다. 이렇듯 사리고 조심하여 눈을 가리고 아웅한 덕에 내외의 의견은 더 볼 것도 없이 맞아 떨어졌던 것이다.(蔡萬植, 濁流)

    7. 여리박빙

    如履薄氷
    [풀이] 살얼음을 밟듯 매우 조심함.

    참고자료

    · 남미혜(2007), 사자성어의 유형과 문법,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이대일(2007), 고사성어를 활용한 예화 자료 개발과 도덕과 수업 적용, 대구교육대학교
    · 이희영(1967), 새 세대에의 격언, 세대사
    · 이윤재(2009), 속담 격언 관용어의번역,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 진위명(2011), 한국 한자성어의 개념과 범위 연구, 성균관대학교
    · 학회자료(2005), 교훈, 명언, 율곡학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