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 한국제례에 관하여...
- 최초 등록일
- 2003.01.09
- 최종 저작일
- 2003.01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면 조켔네영....
목차
1. 제례(祭禮)의 의의(意義)
2. 제례(祭禮)의 유래(由來)와 변천(變遷)
3. 제수(祭需)의 진설(陳設)
가. 제수 진설의 일반 원칙
나. 제찬도(祭饌圖)
1) 가정의례준칙 제찬도(家庭儀禮準則 祭饌圖)
2) 주자가례 제찬도(朱子家禮 祭饌圖)
3) 경기도(京畿道) 지방(地方)의 제찬도
4) 강원도 지방의 제찬도
다. 제수(祭需)
4. 제사(祭祀) 지내는 순서(順序)
가. 오늘날 간소화(簡素化)된 제사(祭祀)
5. 제사(祭祀)의 종류(種類)
가. 연시제(年始際)
나. 한식 성묘(寒食 省墓)
다. 추석 절사
6. 제사(祭祀)에 임하는 태도(態度)
7. 가정의례준칙(家庭儀禮準則) 가운데서 제례(祭禮) 부분
나가면서
본문내용
1. 제례(祭禮)의 의의(意義)
사람이 죽으면 그 자손이나 친족, 친지가 슬픔 속에서 장사를 지내고 조상의 은덕을 추모하여 정성으로 기념하는 것이 제사이다. 그러나 이 제례는 복잡한 형식보다 그 마음가짐이 더욱 중요한데도 불구하고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것은 현대문물(文物)에 의하여 조상에 대한 현대인들의 공경심이 희박해진 결과라 할 것이다.
'뿌리 없는 나무가 없고, 조상 없는 자손이 있을 수 없다'는 옛 사람의 교훈이 아니더라도 나를 낳아 길러 주시고 돌봐 주신 부모님이나 오늘의 나를 존재하게끔 해 주신 조상에 대하여 정성을 다하고 예로써 모시는 것은 자손으로서의 당연한 도리이다.
생활이 복잡하고 일에 쫓기는 현대인일지라도 1년에 한 번 돌아오는 기일(忌日)만이라도 보은(報恩)의 뜻으로 예를 지켜야 할 것이다.
2. 제례(祭禮)의 유래(由來)와 변천(變遷)
제사의 근원은 먼 옛날에 천재지변(天災地變),질병,맹수의 공격을 막기 위한 수단에서 비롯하였다.그러나 근세(近世)에 와서는 유교사상(儒敎思想)으로 조상에 대한 존경과 애모(愛慕)의 표시로 변하게 되어 가정마다 제사를 드리게 되었다.
참고 자료
제례의 기원과 본질 / 공영립 (東洋哲學硏究, [2000])
한국 의례음식 상차림에 관한 연구 / 김영인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1989])
http://dacheon.net/rituals2.htm / 제례의 의의- 제례의 의의 및 유래와 변천, 제사의 종류 설명.
http://100.empas.com/entry.html?i=137447 / 제례- 제사예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