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환자의 심리·신체 상태 이해와 접근방법+물리치료사의 역할과 태도+환자에 대한 심리적 접근방법+적절한 재활환경 리포트A+

1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3.07.24 최종저작일 2013.07
10P 미리보기
환자의 심리·신체 상태 이해와 접근방법+물리치료사의 역할과 태도+환자에 대한 심리적 접근방법+적절한 재활환경 리포트A+
  • 미리보기

    소개

    본 리포트를 활용한다면 꼭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1. 본 리포트는 재활심리학 수업에서 A+를 받은 우수 리포트 입니다.
    2. 본 리포트를 활용하여 좋은 결과가 있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목차

    1. 신뢰관계와 라포(Rapport)의 형성

    2. 물리치료의 적용
    1) 평가
    2) 치료 과정
    3) 환자 및 보호자 교육
    4) 적절한 환경의 조성

    3. 심리적 문제해결을 막는 방해물
    1) 환자의 성향에 따른 문제
    2) 저항하거나 분노하는 환자
    3) 가족 및 보호자와 관련된 문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최근의 장애란 손상(Impairment), 활동(Activity), 참여(Participation)의 의미가 내포된 새로운 차원의 장애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장애를 환자들은 장기간 질병이나 장애를 겪은 후 신체기능의 저하뿐만 아니라 심리적 위축, 자존감의 손상을 경험하게 된다. 일반적인 경우 환자들은 신체활동의 문제로 물리치료사들을 찾게 되지만 심리적정서적 문제로 물리치료사를 찾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물리치료사는 환자의 신체적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에만 초점을 맞춘다. 물리치료사들이 이러한 환자들의 심리적 상태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환자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기능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을 것이다. 더불어 물리치료사들은 환자의 신체적 능력, 성격 특성, 직업, 환경 등을 이해할 수 있을 때 환자에게 효과적인 동기 부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중략>

    3. 심리적 문제해결을 막는 방해물
    물리치료사들은 재활 과정을 통해서 매우 다양한 심리적 문제들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과 부딪히게 된다. 자신의 의견이 너무 뚜렷하거나 저항을 하는 환자, 심리적 불안으로 인해 분노를 표출하는 환자, 성(性)적으로 너무 과민한 환자 등 물리치료사들에게 환자의 심리적 문제는 어렵지만 필수저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문제는 이해하고 있지만 해결책을 찾지 못할 수도 있다. 이렇듯 물리치료사는 환자의 심리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몇 가지 필수적인 방법을 숙지하고 있어야 성공적인 재활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치료사의 행동과 처신에 따라 환자의 심리적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으며, 혹은 증가시킬 수도 있음을 숙지해야 한다. 따라서 물리치료사는 환자를 대함에 있어서 따뜻한 말과 손길 그리고 적극적인 자세로 신뢰관계를 형성하는데 노력해야 한다. 더불어 환자들이나 보호자의 생활에 지나치게 관여하거나 개입하여 객관성과 전문성을 잃지 않도록 노력하는 자세 역시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 김창대(2006). 상담 및 심리치료의 기본기법. 서울: 학지사.
    · Bennett, E. L.(1976). Cerebral effect of differential experencr and training. In Neural Mechaani는 og Learning and Memory(eds MR Rosenzweig, EL Bennett), MIT Press, Cambridge MA, pp287-297.
    · Cupach, W.R., Spitzberg, B. H.(1994). The Dark Sid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 Esmonde, T., McGinley, J., Goldie, P., et al.(1997). Stroke rehabilitation: patient activity during non-therapy time. Aust J Physiother,43,43-51.
    · Goldin, G.M., Leventhal, N.A., Luzzi, M.H.(1974). The physical therapist as “therapist,” Journal of Physical Therapy, 54, 484-485.
    · Grief, E., Matarazz, R.G.(1982). Behavioral approaches to rehabilitation: Coping with change. New York: Springer Peblishing Co.
    · Kohl, S.(1982). Process of psycho-social adaptation to traumatic limb loss: A staged analysis of the rehabilitation process. Audio-visul project, Houston: The Institute for Rehabilitation and Research.
    · Mackey, F., Ada, L., Heard, R., et al.(1996). Stroke rehabilitation: are highly structured units more conductive to physical activity than less structured unit? Arch Phys Med Rehabil,77,1066-1070.
    · Ohlsson, A. L., Johansson.(1995). Environment influences functional outcome of cerebral infarction in rats. Stroke,26,644-649
    · Prett, J.W.(1978). A psychological view of the physiotherapist’s role. Physiotherapy, 64, 241-242.
    · Shafar, S., Ruddie, N.(1976). Collaboration: A physiotherapist in the psychiatric team. Physiotherapy, 62, 80-82.
    · Walsh, R. N., Cummins, R. A.(1975). Mechanisms meditating the product of environmentally induced brain change. Psychol Bull, 82, 986-1000.
    · Wool, R. N., Siegel, D., & Fine, P.R.(1980). Task performance in spinal cord injury: Effect of helplessness train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61, 321-325.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5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