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재활팀 구성의 필요성과 환자참여의 중요성 및 도움의 유형 리포트 A+

본 리포트를 활용한다면 꼭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1. 본 리포트는 재활심리학 수업에서 A+를 받은 우수 리포트 입니다. 2. 본 리포트를 활용하여 좋은 결과가 있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1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3.07.24 최종저작일 2013.07
11P 미리보기
재활팀 구성의 필요성과 환자참여의 중요성 및 도움의 유형 리포트 A+
  • 미리보기

    소개

    본 리포트를 활용한다면 꼭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1. 본 리포트는 재활심리학 수업에서 A+를 받은 우수 리포트 입니다.
    2. 본 리포트를 활용하여 좋은 결과가 있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목차

    1. 재활팀의 구성

    2. 재활팀의 역할
    1) 재활이란
    2) 재활환경
    3) 재활 모델
    (1) 의학적 모델
    (2) 교육적 모델
    (3) 치료적 모델
    4) 재활의 효율성
    5) Kelman(1958)의 적응단계
    (1) 순종(compliance)
    (2) 동일시(identification)
    (3) 내면화(internalization)
    6) 팀 구성원간의 교류 중요성

    3. 환자의 참여
    1) 재활에서의 환자 참여
    2) 재활 과정에서 일어나는 오해
    3) 독립적 재활

    4. 도움의 유형
    1) 좌절극복을 위한 도움
    (1) 도움을 줄 때
    (2) 도움을 주는 방법
    2) 독립을 지원하는 복지
    (1) 물질적 복지
    (2) 사회 참여적 복지
    (3) 인지적 복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재활팀의 구성
    세계 보건기구(WHO)에서 규정한 재활이란 일반적으로 장애가 있는 사람이 주어진 조건 하에서 최대한 신체적(physical), 정신적(emotional), 사회적(social) 능력과 그의 취미, 직업, 교육 등의 잠재적 능력을 발달시켜 주어 그 사람으로 하여금 가능한 한 정상에 가까운 생활을 할 수 있게 해주는 분야로 정의되며, 재활의 목적은 환자의 건강 및 생명을 최선의 상태로 회복하고 이를 유지하는 데 있다고 재활의 아버지라 불리는 러스크 박사(Howard Rusk)가 말하였다.
    재활팀의 구성은 여러 분야의 전문인이 협력하여 치료하는 것으로 환자에 대한 포괄적 치료를 목표로 하며, 정상적 삶이 갑자기 장해 및 장애를 갖게 된 환자의 심리 상태를 비롯한 직업 및 환경의 적응까지 고려해가며 환자를 돌보는 것이다.

    <중 략>

    3. 환자의 참여
    1) 재활에서의 환자 참여
    의학적 지식이 의료인에 의해 독점되던 과거와는 달리 인터넷 등이 매체를 통한 의학 지식의 대중화로 환자와 가족들의 의학지식과 정보에의 접근이 용이해졌다. 소비자 권리 의식의 증대와 함께 환자의 알 권리와 진단과 치료에 관련된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고자하는 요구가 증대되었다(Fowles et al, 2004). 또한 의료인은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결정과정을 의료 전문집단 고유의 권한으로 생각하던 과거의 경향에서 탈피하여 막대한 윤리적 책임과 법적 책임이 따르는 결정에 환자와 가족의 참여를 기대하는 추세이다(Entwistle et al, 2004).

    <중 략>

    (2) 사회 참여적 복지
    사회 참여적 복지란 인간관계를 맺는데 관련된 요소로서, 삶 속에서 가장 생동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 이동, 지조, 사회적 참여 및 여가 기술 등과 같이 자기 혼자서 해볼 수 있는 능력, 자기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능력, 존중받을 수 있는 존재가 되는 능력 등이 사회 참여적 복지의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사회 참여적 복지는 사회계층의 차이에 의해 지배되고 자기의 주관적인 만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Kearney, Plax & Lentz, 1985).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자신의 삶의 만족을 추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임에 틀림없지만, 누군가에게 무엇인가 선택할 수 있도록 연습을 시키는 것이야말로 사회 참여적 복지와 경제적 지위를 확보시켜 주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Brown, 1993).

    참고자료

    · 안경애, 김정은, 강민아, 정연이(2006). 의료과오 감소를 위한 환자의 자기보호행동 및 의사결정 참여. 보건행정학회지, 16(3),70-85
    · 정봉근(2010). 미국 장애인정책 ‘미국 재활병원’을 보라. 에이블뉴스. 2010-11-12.
    · 신현기(2001). 장애성인의 독립생활을 위한 교육적 지원. 한국성인교육학회, 4(3),69-86.
    · Brown, R. I.(1993). Quality of life issues in aging and intellectual disability. Australia and New Zealand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18, 219-227.
    · Cotten, P. D. and Spirrison, C. L.(1986). The elderly mentally retarded(developmentally disabled) population: A challenge for the service delivery system. In S. J. Brody &G. E. Ruff(Eds.), Aging and rehabilitation: Advances in the state of the art. New York: Springer.
    · Clark, P. G.(1988). Autonomy, personal empowerment, and quality of life in long-term care.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7, 279-297.
    · Clark, S.(1988). Room in the aging network? A review from the aging system. Perspectives on Aging, 17(5), 13, 22.
    · Entwistle VA, Mello MM, Brennan TA(2005). Advising patients about patient safety: Current Initiatives risk shifting responsibility. Jt Comm J Qual Patient Saf.31(9):483-494.
    · Fdwles JB, Kind AC, Craft C, Kind EA, Mandel JL, Adis S(2004). Patients’ interest in reading their medical record: relation with clinical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atients’ approach to health care.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4(7):793-800.
    · Holman H, Loring K(2000). Patients as partners in managing chronic disease. Partnership is a prerequisite for effective and efficient health care. BMJ,320(7234):526-527.
    · Janicki, M. P.(1997). Quality of Life for Older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Quality of Life, Vol. Ⅱ, 105-115.
    · Kearnet, P., Plax, T. G. & Lentz, P. S.(1985). Participation in community organizations and socioeconomic status as determinants of seniors’ life satisfaction. Activities, Adaption and Aging, 6(4), 31-37.
    · Kelman, H.(1958). Compliance, identification, and internalization: Three processes of attitude chang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1, 51-60.
    · Ladieu, G., Hanfman , E., & Dembo, T.(1947). Studies in adjustment to visible injuries: Evanluation of help by the injured.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42, 169-172.
    · Rusk HA: The philosophy and need of rehabilitation. In Rusk HA: Rehabilitation Medicine 4th ed., pp1-3 C.V. Mosby Co. 1977.
    · Treischmann R(1980). Spinal Cord Injuries: Psychological, Social,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cond Edition.
    · Trieschmann, R.(1978). The psychological, social, and vocational adjustment in spinal cord injury: A strategy for future research. Washington, D.C.: Rehabilitation Services Administration.
    · Trieschmann, R.b.(1978). The psychological, social, and vocational adjustment in spinal cord injury: A strategy for future research. Washington, D.C.: Rehabilitation Services Administration.
    · Mullen PD(1997). Compliance becomes concordance. BMJ 1997,314,691.
    · Mikulic, M.(1971). Reinforcement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patient behaviors by nursing personnel: An exploratory study. Nursing Research, 20, 148-155.
    · Wright, B.A.(1983). Physical disability-A psychological approach. New York: Haper and Row.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