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하수 너머의 은하들
- 최초 등록일
- 2013.07.08
- 최종 저작일
- 2011.07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원

판매자coffe******* (본인인증회원)
1회 판매

목차
1. 가시광선에서 보이는 은하
2. 전파로 본 은하
3. 은하의 적외선 관측
4. 정상 은하로의 엑스선 방출
5. 고려해 볼만한 기초적 이론 사항
본문내용
세 번째 사실은 각각의 모은하가 다른 진화의 역사를 거쳐 왔음에도 불구하고 원반부의 별과 중심핵 팽대부의 별들이 각각 동일한 역학적 상태에 다다라 있음을 나타냄
모든 원반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역학적 과정은 근본적으로 같으며 회전 타원체 성분에서도 마찬가지
2개 주된 분류 범주는 원반/중심핵 팽대부의 비율과 나선팔이 감긴 정도
S은하가 젊은 별들을 가지고 있고 E은하는 늙은 별만을 가지고 있지만 S은하도 늙은 별을 가짐(따라서 두 은하 모두 늙었다.)
타원은하에서의 가스 결핍은 새로운 별의 형성을 막는다.
은하의 형성은 각운동량에 의존(단위 질량당 각운동량)
각 운동량이 클수록 은하는 더 편평(중력이 회전축 방향으로 가스를 수축시킴에 따라 가스가 은하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운동량을 전달하기 때문에 은하의 극부분은 수축, 은하의 적도면에 있는 가스는 회전에 의해 유지)
타원은하에서는 가스가 별로 응축되는 것이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일어나고 별이 구형으로 분포하게 되고 중심핵에 별의 집중도가 높아짐
반대로 나선 은하에서는 상대적으로 별 형성이 더 천천히 일어남
나중 세대의 별들은 점점 더 편평해진 가스 원반에서 생겨남(2개 분포 형태가 생김)
천천히 회전하는 계는 구형으로 분포하는 별을 포함
빠르게 회전하는 부분은 편평하고 원반 같은 형태로써 별, 먼지, 가스를 포함
은하면에 있는 먼지와 가스는 밀도파의 영향을 받아 나선팔을 형성
난류와 자기장 또한 은하의 최종 형태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
적외선, 전파, 엑스선 광도 간 상관관계 만기형 은하에서만 볼 수 있음
별의 생성이 원반 은하의 에너지 변화에 영향을 줌
별 생성율의 증가는 성간 먼지의 에너지를 증가시키고 이것은 다시 적외선 영역으로 재복사하여 적외선 광도를 증가시킴
별 생성율 증가는 성간 먼지의초신성의 수를 증가시키고 이것은 싱크로트론 전자의 근원이 됨.
전자는 상대론적인 속도로 가속되어야 하는데 성간 매질에는 전자를 효과적으로 가속되어야 하는데 성간 매질에는 전자를 효과적으로 가속시키는 충격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여러 기작이 있음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