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고
- 최초 등록일
- 2013.06.30
- 최종 저작일
- 2011.05
- 17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2,000원

목차
1. 발해고란
2. 발해고
3. 군고
4. 신고&지리고
5. 발해의 영토
6. 직관고&의장고&물산고
7. 국어고&국서고&속국고
8. 발해고의 의의
9. 유득공의 역사인식
10. 유득공이 인식한 한국사의 체계
11. 『발해고』를 짓게 된 계기
12. 유득공이 『발해고』를 저술하게 된 연유
13.『발해고』를 `역사서`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
본문내용
군고
발해 역대 왕에 관하여 기술한 본기(本紀)이다.
진국공(震國公)·고왕(高王)·무왕(武王)·문왕(文王)·폐왕(廢王)·성왕(成王)·강왕(康王)·정왕(定王)·희왕(僖王)·간왕(簡王)·선왕(宣王)·이진(彛震)·건황(虔晃)·현석(玄錫)·인선(??)·흥요왕(興遼王) 및 염부왕(琰府王)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
< 중 략 >
유득공이 『발해고』를 저술하게 된 연유
고려가 발해사를 짓지 않았으니 고려의 국력이 떨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다.
…… 무릇 대씨는 누구인가? 고구려 사람이다. 그가 소유한
땅은 누구의 땅인가? 바로 고구려 땅으로 동쪽과 서쪽과 북쪽을 개척하여 이보다 더 넓혔던 것이다 …… 고려가 마침내 약한 나라가 된 것은 발해 땅을 얻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유득공의 서문)
↓
유득공은 과거 고려에서 체계적인 발해사 서술이 이루어지지 않은 데 대한 강렬한 비판 위에서 ‘발해고’를 쓴 것임을 피력하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