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고발해고는 유득공이 발해의 역사를 수록한 책인데요 발해고의 가장 앞부분에 서문이 있습니다. 그 동안 만주지역에 있던 고구려의 후속국가인 발해의 역사는 매우 등한시 되었는데요 ... 조선후기에 유득공이 발해고를 저술하면서 발해의 역사가 새롭게 조명을 받게 되었습니다. 발해고를 저술한 유득공은 발해고의 서문에 이어서 각 분야별로 상세하게 서술을 하였는데요
발 해 고 1 - 1 (『발해고』, 유득공 지음, 서해문집, 2006년 1월) 십대를 지나며, 어떤 직업을 가져야 하는지 자주 고민했다. 나는 내가 잘 하는 것과 잘하고 싶은 것 ... 읽을수록 내가 넘어야 할 학문의 벽은 높아보였고, 종종 글을 쓸 자신이 없었다. 그러던 중 유득공이 쓴 『발해고』를 읽었고, 나는 조금 기운을 냈다. 이 독후감은 내가 느낀 작은
유득공 - 발해고 첫 인문고전 독서 유득공은 신라의 통일을 강조하여 한국사의 판도를 한반도로 위축시킨 종래의 역사 인식을 바꾸어, 우리 민족의 역사 무대를 발해의 영역이었던 만주 ... 치부할려고 했다는 점에서 보면 발해고는 뛰어난 역사기록서이다. 그보다 중요한 것은 유득공의 사유체계, 생애는 어땠기에 발해고를 써낼 수 있었을까 유득공이 살아있었을 때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주로 실학 사상가들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됩니다. 우리나라의 역사를 탐구하려는 서적으로는 안정복의 동사강목과 유득공의 발해고가 있습니다. ●동사강목 안정복은 동사강목이라는 역사서를 ...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동사강목을 집필하였습니다. 때문에 안정복은 실학사상가로 분류가 되고 있습니다 ●유득공이 지은 발해고 규장각에 활약을 하던 유득공은 그동안 등한시 되었던 발해의
발해에 대한 최초의 단독저술, 『발해고』 한국사학의 발전 1. 들어가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우리의 역사를 말할 때 단군-고구려 백제 신라-고려-조선으로 말한다. 이처럼 대 ... 생각하였다. 하지만 조선 후기로 가면서 우리의 옛 북방영토에 대한 관심이 커져갔고, 이는 고구려와 발해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시점에서 유득공의 『발해고』가 완성된다. 본
나라가 동북쪽 이민족을 통제하던 거점도시인데요 강제로 끌려온 이민족들이 다수 거주하였던 곳입니다. 고구려 유민들은 말갈족과 힘을 합하여 발해를 세웠습니다. ●발해고 발해에 대한 역사를 ... 기록한 책으로 발해고가 있습니다. 발해고는 유득공이 발해의 역사를 수록한 책인데요 발해고의 가장 앞부분에 서문이 있습니다. 서문에 이어서 군고(君考)·신고(臣考)·지리고(地理考
발해고 Ⅰ 유득공과 발해고 1. 생애 유득공은 부친 유춘이 결혼 8년만인 1748년 11월 5일에 낳은 아들이다. 이 때 유득공의 증조부와 외조부가 서자였기 때문에 그는 서얼 ...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발해고』에서 일본 사료까지 인용할 수 있었다. 유득공의 사료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면,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전적으로 의존하였던 종래의 견해들에
잘 다루었으므로 말갈의 무리와 고구려의 남은 무리가 점차 모여들었다] ●유득공과 발해고 조선 후기에 발해의 역사를 새롭게 조명한 인물은 유득공입니다. 실학자이기도 한 유득공은 규장 ... 조명하는 발해고를 저술하게 됩니다. 유득공은 규장각에 있는 여러 기록들을 모아 발해가 고구려의 계승자임을 분명하게 밝혔습니다. 조선후기의 실학자인 유득공은 고려가 발해의 역사를 다루지
많이 알고 있지 못하는 게 사실이다. 우리 선조들도 발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발해를 우리 역사로 인정하지 않았다. 여기서 다루게 될 유득공(柳得恭)의 『발해고(渤海考)』는 이런 ... 발해에 대한 전통적인 역사인식을 바꾼 책이다. 여기서는 『발해고』의 저자인 유득공의 삶과 그의 역사적 인식, 『발해고』의 구성 및 체제 마지막으로 『발해고』의 사학사적 의의를
한국 사람들에게 발해, 고구려는 누구의 역사인지 묻는다면, 100명중 90명은 자랑스러운 한반도의 역사라 할 것이다. 그러나 왜 한반도의 역사인지 물어본다면 제대로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중국은 몇 년 전부터 발해, 고구려 역사를 자국의 역사로 만들기 위..
남북국시대론의 효시를 담은 『渤海考』 목 차 Ⅰ. 들어가며 Ⅱ. 유득공의 역사의식 Ⅲ. 발해고 내용 및 특징 Ⅳ. 사학사적 의의 Ⅴ. 나오며 Ⅰ. 들어가며 유득공은 조선후기 ... 고인 것이다. 유득공은 이 발해고를 통해 우리가 현재 통설로 받아들이고 있는 “南北國時代論”을 최초로 제시하기도 했다. 발해고를 저술한 유득공의 역사의식과 발해고의 내용, 특징을
발해고 - 유득공 - ◈ 감상 / 서평 발해...발해는 우리에게 매우 중요하다. 발해가 우리의 역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매우 각별하다. 고구려가 당나라에 멸망한 후 , 북방에 ... 역사를 상기시켜주었다. 하지만 그 자신이 생각하기엔 여러 모로 부족한 점이 많아 차마 역사서로 완성하지 못하고 발해고(考)라 칭하였다. 발해고는 군고 , 신고 , 지리고
본깨적 NOTE 작성자 최혜영 2016 년 6 월 18 일 책 제목 발해고 저자 유득공 출판사 홍익 키워드 역사, 문학, 문화 본 것 (What I See) ▶ 책의 핵심내용 p ... ) ▶ 나의 이해·해석 발해고를 처음 읽기 시작할 때는 예상보다 두께도 얇고 재미있어 보였는데, 읽을수록 고전의 어려움 을 다시 느끼게 되었다. 한자나 용어들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발해고』에서 일본 사료까지 인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 간략히 소개한 것과 같이 그 나름의 역사 인식이 형성되었던 배경에는 그의 다방면에 걸친 문학적 관심이 가로놓여 있었다 ... 받아야 마땅할 것이다. 국내 자료로서 눈에 뜨이는 것은 『영순태씨족보』인데, 아쉽게도 지금 남아 있는 족보는 여기에 거론된 것이 아니고 거꾸로 『발해고』를 바탕으로 재작성된 것이다
발휘한 인물이다. 그의 대표작인 『발해고』는 그가 규장각 검서로 있으면서 궁중에 비장된 우리 나라와 중국, 일본의 사료를 광범하게 섭렵하여 그 동안 매몰된 발해의 역사를 고증한 ... 결실다. 이는 처음으로 발해를 우리의 역사로 편입하였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문에서는 그의 역사인식과 저서인 『발해고』에 대하여 살펴본다. Ⅱ.柳得
기술한 유득공의『발해고』를 살펴보도록 하자. 판본에 따라 조금 다르겠지만, 일단 분량 자체가 매우 적다. 발해사의 ‘특정한 부분’을 다룬 책이 아니라 발해사 전반을 다룬 책임에도 ... 아는『삼국사기』나『삼국유사』,『고려사』등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저술되었지만,『발해고』의 경우에는 발해가 망한 지 800년이 훨씬 넘은 시기에 쓰여진 탓에 관련된 자료가 별로 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