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명기, 『정신대와 국제법』, 법지사, 1993, 69~79면.
· 김창록,『supra note 30』, 429면.
· 나눔의 집, http://www.nanum.org/, 역사적 배경, 2011.11.10
· 도시환, “세계로 확산되는 ‘위안부’ 결의안 채택”, 『한겨레신문』, (2007. 11, 16), 33면.
· 도시환, “日정부, 정의와 양심으로 국제사회에 응답해야”, 『서울신문』[시론], (2007.8.1), 31면.
· “위안부 배상문제 해결, 국가가 나서야” 헌제 결정 의미, 『동아일보』,신민기•윤완준 기자, 2011.08.31
· 박배근, 「상게논문」, 332~333면.
· 박배근,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과 개인의 청구권」, 『한일역사관련 국제법논문선집』, 2006,
· 331면 ; 이장희, 「한일청구권협정의 재검토와 개정방향」, 한일간의 국제법적 현안문제,
· 아시아사회과학연구원, 1998, 49~61면, 상게서, 285~308면.
· 법률신문, http://www.lawtimes.co.kr, 최봉태 변호사 승소, 2011.11.11
· “유럽의회 일본군‘위안부’ 결의안 채택을 환영한다”, 동북아역사재단 보도자료, 2007. 12. 14.
· 이장희, 「일본의 전쟁책임에 대한 법적 청산」, 상게서, 41면, 『한일역사관련 국제법논문선집』,
· 박배근, supra note10, 11~12면 참조.
· 이태진, 「일본의 대한제국 국권 침탈과 조약 강제-한국병합 불성립을 논함-」, 동북아의 평화를 위한 바른역사정립기획단, 『한일역사관련 국제법논문선집』, 2006, 3면 ; 백충현, 「일본의 한국병합에 대한 국제법적 고찰」, 이태진 외 5인 공저, 한국병합의 불법성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207면, 상게서 55면 참조.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http://www.womenandwar.net/, 위안부의 실태, 2011.11.11
· e-역사관, http://www.hermuseum.go.kr/, 일본군 위안부 동원, 2011.11.10
· “日, 53년 「日帝 불법행위 책임」표명, 挺身隊 등 배상근거 있다”, 『동아일보』, (1992.6.16), 1면 참조.
· Amendment in The Nature of a substitute to H. RES. 121 offered by Mr. Lantos of
· California and Ms. Ros-Lehtinen of Florida(이하 H. RES. 121).
· Hwang Geum Joo, et al. v. Japan, U.S. Court of Appeals, No. 01-7169(June 28, 2005), pp.2~4 참조.
· 네이버, http://www.naver.com/, 위안부의 실태(그림자료 1, 2), 2011.11.11
· “박선영 의원, 위안부문제해결촉진법 제정 촉구”, 데일리 중앙 보도 자료, 2010.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