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인적자원부(1997),『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1997-15호.
· 교육인적자원부(1997),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2)국어-』, 교육부고시 제1997-15호.
· 교육인적자원부(2007),『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2007-79호.
· 교육과학기술부(1997),『문법』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 김광해(1997),『국어지식 교육론』,서울대학교 출판부.
· 김태엽(2001),『국어 종결어미의 문법』,국학자료원.
· 남기심(2001),『현대 국어 통사론』, 태학사.
· 송창선(1998),『국어 사동법 연구』 홍문각.
· 송창선 (2010)『국어 통사론』,한국문화사.
· 이관규(1999),『학교 문법론』, 월인.
· 이관규(2005),『국어교육을 위한 국어 문법론』, 집문당.
· 이문규(2004),『국어교육을 위한 국어 음운론』, 한국문화사.
· 이관규(2008),『학교문법교육론』,고려대학교 민족문화.
· 이병갑(2009),『우리말 문장 바로 쓰기 노트』, 민음사.
· 이상억(1999),『국어의 사동·피동 구문 연구』, 집문당.
· 임지룡,이은규,김종록,송창선,황미향,이문규,최웅환 공저(2005),『학교문법과 문법교육』, 박이정.
· 임지룡, 임칠성, 심영택, 이문규, 권재일 공저(2010)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새롭게 집필한) 문법 교육론』,역락.
· 주세형(2006),『문법 교육론과 국어학적 지식의 지평 확장』, 역락.
· 주세형. 김은성, 남가영 옮김(2007),『장르, 텍스트, 문법: 쓰기 교육을 위한 문법』, 박이정.
· 최규수(2009),『한국어통사론입문』, 박이정.
· 최석재(2008),『국어 대우법 체계의 정보화 연구』,박이정.
· 최웅환(2000),『국어문장의 형성 원리 연구』,역락.
· 황병순(2004),『 한국어 문장 문법』,한국문화사.
· 한글학회(1992),「우리말 큰 사전」, 어문각.
· 한 길(2002),『현대 우리말의 높임법 연구』,역락.
· 강지혜(2011),「문법과 작문의 통합 지도 방안 연구 -논술문에 드러난 문법 지식을 중심으로-」,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고춘화(2009),「바른 표현을 위한 문법 교육의 내용 체계 구성 연구」, 경북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권영민(1988),「문장의 호응과 연결을 바르게 하는 법」,『한국인』17호, 사회발전 연 구소.
· 김광해(2000),「정확한 글쓰기」,『국어문화학교』제4호, 국립국어연구원.
· 김밀라(2004),「국어 문법 교육과 교과서 문제점 연구-통사론을 중심으로」, 경남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서경(2008),「문법-말하기의 통합적 교수 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고려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혜정(2009),「읽기의 맥락과 맥락 읽기」, 『독서 연구』 제21호, 한국독서학회.
· ______(2011),「국어과 교육내용으로서 맥락의 교육적 실행 연구」, 『한말연구』 제28 호, 한말연구학회.
· 남가영(2007),「문법교육의 ‘지식의 구조’ 체계화 방향」, 『국어교육』제123호, 한국어 교육학회.
· 박종미(2012),「문법 능력과 쓰기 능력의 상관성 연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손경미(2006),「비문법적인 문장 분석을 통한 올바른 문장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 『어문학교육』제33호, 한국어문교육학회.
· 손은실(2011),「2007 개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문법 영역 단원 연구-통합적 문법 교 육을 중심으로-」,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창선(2009ㄱ),「이른바 ‘이중 목적어 구문’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연구』 제44집, 국어교육학회.
· ______(2009ㄷ),「이른바 ‘이중 주어 구문’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연구』 제45집, 국어교육학회.
· 송현정(1997),「쓰기와 구성적 언어 지식과의 상관성 연구」,『국어교육』제94호, 한국 국어교육연구.
· ______(1998),「성분 호응에 관한 국어 교육적 소고」,『국어교육연구』제5집, 서울대 학교국어교육연구소.
· 송현정(2004),「국어지식 교육과 사고력의 관계에 대한 일고」,『한국초등국어교육』제 24집,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 ______(2006),「교육과정 개정시안 문법영역의 개정방향과 과제」 ,『문법교육』제5호, 한국문법교육학회.
· 신호철(2007),「국어교육의 상보적 통합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문법교육』제7호, 한국문법교육학회.
· 안지용(2010),「문법 능력과 쓰기 능력의 연관성 연구-문장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양세희(2010),「문법과 쓰기의 통합적 양상 분석-2007년 개정 중1국어를 중심으로-」, 『문법교육』제12호, 한국문법교육학회.
· 유혜령(2011),「작문교육에서 문장 쓰기 지도의 방향」,『문법 교육』 제14집, 학국문 법교육학회.
· 윤지선(2011),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의 품사 단원 연구-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 정에 따른 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 이관규(2002),「국어의 문장 구성에 대한 연구와 전망」,『한국어학』 제16호, 한국어 학회.
· ______(2005), 「문장 성분과 호응」,『새국어생활』 제15권 4호, 국립국어원.
· ______(2007ㄱ),「국어과 문법 교육과정의 개정 특징과 문법교육의 방향」,『청람어 문교육』 제36호, 청람어문교육학회.
· ______(2007ㄴ),「국어교육 연구의 새로운 방향 : 문법 교육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방 향」,『국어교육』제123호, 한국어교육학회.
· ______(2009),「통합적 문법 교육의 의의와 방법」,『문법 교육』제11호, 한국문법교육 학회.
· 이문규(1996),「국어과 ‘언어’영역의 성격」,『국어교육연구』제28집, 국어교육학회.
· ______(2000),「발음 교육의 개념과 방향」,『어문학교육』제22집, 한국어문교육학회.
· ______(2001),「국어지식 교육의 성격과 방향」,『어문학교육』제23집, 한국어문교육학회.
· ______(2002),「화법의 개념과 화법 교육의 방향」,『어문학교육』제25집, 한국어문교 육학회.
· ______(2003),「국어지식의 가치와 교육 방향」,『국어교육연구』제35집,국어교육학회.
· ______(2008),「문법 교육의 성격과 학교문법의 내용」,『언어과학연구』제46집, 언어 과학회.
· ______(2010),「국어과 교육과정 설계와 학문적 쟁점: 문법 교육론의 쟁점과 문법 교육 의 내용」, 『국어교육』 제133호, 한국어교육학회.
· 이미소(2012),「국어 높임법 교수-학습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삼형(2000),「문학과 말하기의 랑데부와 도킹」,『문학과 교육』 제11집, 문학과 교육연구회.
· ______(2010),「문법 영역과 작문 영역의 통합 문제」,『문법교육』제12호, 한국문 법교육학회.
· 이성영(1995),「언어 지식 영역 지도의 필요성과 방향,『국어교육연구』제2집, 서울대 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연구소.
· 이소영(1993),「국어 성분의 어순 연구」,『원우론총』,제11집, 숙명여자대학교 대학 원원우회.
· 이춘근(2001),「문장교육의 필요성」,『문창어문논집』 제38집, 문창어문학회.
· 이춘근·김명순(2003),「읽기·쓰기 능력 발달을 위한 문장 교육 교재 개발 연구-문형지 도를 중심으로」,『국어교육학연구』제18집, 국어교육학회.
· 이현진(2008), 「문장 성분을 활용한 문장 쓰기 지도 자료 개발」, 부산교육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규홍(2001),「국어지식 교육에 대한 몇 가지 문제」『새국어교육』제62호, 한국국어 교육학회.
· 임지룡(2002),「20세기 이후 국어 어휘의 사용실태와 조어론적 특성」,『국제학술회의 논문집』제1호, 국립국어연구원.
· 임칠성(2007),「2007개정 문법교육과정검토」,『우리말교육현장』, 제1호, 우리말교육 현장학회.
· 장수진(2004),「오용 사례 분석을 통한 높임법 교수 방안 모색」,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장신영(2011),「통합적 문법 교육을 위한 학습 활동 구성의 실제:2010개정 교과서를 중심으로」,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미숙(2006),「쓰기능력 향상을 위한 문법 교수학습방안-10학년 국어교과를 중심으 로」,『국어교과교육연구』제11호, 국어교과교육학회.
· 정지현(2011), 「국어과 탐구 학습을 통한 탐구적 지식의 형성 단계 연구」, 고려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주세형(2005ㄱ),「통합적 문법 교육 내용 설계의 원리와 실제 연구」,서울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 ______(2006),「국어지식 영역의 규범성 패러다임: 창의성과 균형 잡기」, 『국어교 육』 119집, 한국어교육학회.
· ______(2007),「텍스트속 문장 쓰기와 문법」,『한국초등국어교육』제34집, 한국초등국 어교육학회.
· ______(2011),「국어과 문법 평가 이론의 발전 방향」,『국어교육』 제135호, 한국어교 육학회.
· 최규종(2001),「중학교 문법 지도 방법 연구-품사와 문장 성분을 중심으로-」, 경기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영환(1995),「언어 능력 신장의 관점에서 본 언어 지식 영역의 지도 내용」, 『국어 교육연구 』제2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 최웅환(2009),「국어 문장 성분의 중첩 현상」,『언어과학연구』제50집, 언어과학회.
· 최해주(2008),「한국어 피동·사동 표현의 효율적인 교육방안 연구」, 『새국어교육』제 78호, 한국국어교육학회.
· 허영실(2007),「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문장성분 호응 지도 내용 연구」, 이화여자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재웅(2007),「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문법 교육 방안 연구」,『청람어문교육』제36 집, 청람어문교육학회.
·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www.koean.go.kr.
· 국립국어원 표준어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