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균형발전위원회,「주 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주말여가 형태 및 여행유형 변화」, 서울: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04)
· 김대환, 「노동사회」, (11월호, 2001)
· 김동진,「교육대사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하우동설, (1998)
· 김미향,「현대여가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여가 교육의 적용」, (한국체육학회지, 45(3), 2006)
· 김성섭, 전혜진, 황지영,「주5일 근무제도 도입에 따른 여가 및 관광활동의 변화 추정」, (호텔경영학연구, 13(2), 2004)
· 김수현, 조권중,「주 5일 근무제의 사회적 영향과 도시정책의 방향」, (도시정보, 252, 2003)
· 김승택 외 4인,「근로시간 단축이 국민경제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2001)
· 김영주,「한국 근로자의 바람직한 여가태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 김재운,「교사의 스포츠형 여가활동 참가와 교직스트레스, 교직만족 및 자아실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김지영, 이철원, 조방현,「알찬 토요일 보내기”를 위한 주말 여가교육 패러다임 탐구」, (한국체육학회지, 45(3), 2006)
· 김진욱,「한국 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 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2, 2006)
· 대한체육회,「주 5일 근무제의 사회문화적 진단(김문조)」, (체육, 338, 2001)
· 류재숙, 박연옥, 이승곤,「주 5일 근무제에 따른 직장인의 여가활동 및 여가만족」, (관광연구저널, 19(1), 2005)
· 문숙재, 윤소영, 차경욱, 천혜정, 「여가문화와 가족」, 서울: 신정, (2005)
· 민승규,「주 5일 근무 실시의 전제조건」,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1)
· 박 웅,「주 5일 근무제와 근로시간, 휴일, 휴가」, 서울: (주)중앙경제, (2004)
· 박경일,「문화부 ‘주 5일제’관련 국민여가 조사- “돈 없어 여가활동 제대로 못해”46%」, (문화일보 1면, 2006년 6월 28일)
· 박민하,「여행, 통신 등 “시간소비형 소비”늘어…」 (대우경제연. 한국경제, 2000년 1월 7일)
· 박은아, 주경미,「클럽 여가 소비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7(1), 2006)
· 박재환, 김문겸,「근대사회의 여가문화」,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 박정열, 손영미,「일과 삶의 조화: 주 40시간 근무제의 효율적 활용을 위하여」, (김영순, 이철원(편), 여가와 문화: 여가연구의 문화 코드. 서울 : 역락, 2006)
· 박희진,「관광산업, 온라인 혁명이 시작됐다」, (머니투데이, 2004년 10월 2일)
· 삼성경제연구소,「2002년 TREND 10」(2002)
· 서태양, 차석빈,「여가론」, 서울: 대왕사, (1999)
· 송강영,「가정주부의 여가활동 참여와 가족응집력 및 적응력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 신화경,「지역사회 여가 시설 개발을 위한 주 5일 근무자들의 여가 행태 분석 연구」, (2005)
· 안재욱,「주 5일 근무제 강제시행 그림자」, (문화일보 31면, 2004년 7월 13일)
· 양성인,「주 5일 근무제가 도시근로자들의 여가생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여가문화연구회,「한국인의 놀이의식과 여가문화」, 서울: 집문당, (1997)
· 오수경, 이경숙,「주 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여가 관련 정책에 관한 연구」, (관광정책학연구, 11(2), (2005)
· 이미숙,「2005 트렌드’로 본 라이프스타일 변화/미국인 온라인 생활화 … 자기개발 더 늘어」, (문화일보 3면, 2005년 2월 26일)
· 이유리, 박미석,「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여가 제약, 여가동기, 여가참여의 관계: 구조방정식 모형 구축을 통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2006)
· 이주형, 김현민,「주 5일 근무제 도입실무」, 서울: (주)중앙경제, (2004)
· 이천희,「외국의 여가, 레크리에이션 지도자 양성에 관한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0, 2006)
· 이철원, 전형상,「한국사회의 춤문화 바로보기: 오해와 편견을 넘어 대중과 함께 하는 한국사회의 춤이야기」,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6, 2004)
· 이철원,「주5일 근무제 이후 도시민의 여가 향유 형태와 발전 방향에 관한 담론」, (한국여가레크리에션학회지, 31(1), 2006)
· 이홍구,「생활체육 참가와 사회연결망 및 사회적지지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 임규준,「인터넷 동호회 활동 네티즌의 23.1%」, (매일경제 4면, 2000년 4월 25일)
· 정애자,「노인들을 위한 여가 계획」,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2006)
· 한국갤럽조사연구소,「주5일 근무제에 관한 여론조사 결과」, (2002)
· 홍성희,「중노년기 여가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공공시설의 여가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8(5), 2000)
· 황지영,「주 5일 근무제도 도입에 따른 여가활동의 변화추정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Dumazedier, J.(1967). Toward a Sociology of Leisure(S. Maclure, Trans.) New York: The Free Press.
· Kaplan, M.(1960). Leisure in America. New York: John Wily & Sons, Inc
· Kelly, J.R.(1990). Leisure(2nded.).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 Hall, Inc.
· Murphy, J. F.(1975), Recreation and Leisure Service, Iowa; William C. Brown.
· Parker, S.(1971). The future of work and leisure, London: MacGibbon and Kee, 20.
· Wylson, Anthony(1980), Design for Leisure Entertainment, Boston: Worth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