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
· 강대인·김우룡·홍기선, "방송제작론", 서울: 나남, 1987.
· 김성규·정승철·장소원·최용기, "이런 말 실수 저런 글 실수", 문화관광부, 1998.
· 김우룡, "방송광고론", 서울: 나남, 1988.
· 김원수, "광고학 개론(제3관), 서울: 경문사, 1986.
· 리대룡·이명천 編者, "현대사회와 광고", 서울: 나남, 1992.
· 이상희, "TV방송과 대중문화", 서울: 전예원, 1983.
· 최기호·김미형, "언어와 사회", 서울 한국문화사,1998.
· 한영목, "언어와 사회", 서울 한신문화사, 1992.
· 이현우, "광고와 언어",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0.
· Charles Y. Yang, 리대룡·김충기 共譯, "도대체 광고란 무엇일까", 서울대학문화사, 1982.
· KIM B Rotzoll 外, 한상필·김대선 역 "현대사회와 광고", 서울: 한나래, 1994.
· Roxanne Hovland. Gory B. Wilcox, 리대룡 역 "광고와 사회" 서울: 나남 출판,1994.
· <논문>
· 강길호, "광고에 사용된 외래어의 실태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 1994년 여름호.
· 강명구, "포스트모던 광고의 상품미학", 광고연구. 봄호(제14호). 1992.
· 강선영, "성적 소구 광고의 커뮤티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 논문.
· 중앙대학교. 1992.
· 강순희, "TV광고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 권유경, "TV시청과 어린이들이 갖는 성별 역할의 고정관념에 관한 연구".
· 석사 학위 논문. 이화여자 대학교
· 김동섭, "메스미디어가 청소년 범죄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1991.
· 김정기, "광고 방송과 청소년" <放送硏究>, 방송위원회, 1985년 봄호.
· 남상일, "텔레비젼 광고에 대한 어린이의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1983.
· 문현정, "광고언어의 설득적 표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대학교, 1995.
· 윤희중, "방송광고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放送硏究>, 방송위원회,1982년 겨울호.
· ___, "방송과 청소년 문화" 문화방송 창사 30주년 기념 방송연구 논총,
· 방송과 문화, 1991.
· 이은경, "신문광고 카피의 문화적 역할에 관한 역사적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1991.
· 장낙인, "광고의 사회·문화적 기능", <광고정보>, 한국방송광고공사, 1990년 가을호.
· 한준상, "광고의 사회 교육적 기능과 효과", <광고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1989년 여름호.
· <간행물>
· 김용수, "대중문화 속의 광고" 동방커뮤티케이션즈 사보, 1993년 4월호.
· 박갑수, "방송광고에 나타난 언어의 문제", 국립국어연구원, 새국어생활 제2권 제2호, 1992.
· 최창섭, "광고문화와 공고의 사회학", 사보 다이아몬드 애드, 66호, 1994.
· 한국방송광고공사, "97 전국 소비자의 의식조사", 1998.
· 방송위원회, "방송 언어 연구위원회 종합보고서", 1996.
· ________, "방송 언어 자료집", 1996.
· 공보처, "광고언어 사용의 기준",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