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기본자료
· 최인호.『별들의 고향』, 상·하, 샘터, 1994.
· 조해일.『겨울여자』, 상·하, 솔, 1991.
· 한수산.『해빙기의 아침』, 상·하, 중앙일보사, 1992.
· 2. 논문 및 저서
· 강금숙.「상업주의 소설에 타나탄 부정적 요소」,『이화어문논집』제9집, 1987.
· 강현두 편.『대중문화의 이론』, 민음사, 1980.
· 권영민.『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1993.
· ―――. 「내용과 수법의 다양성」,『제3세대 한국문학, 조해일』, 삼성출판사, 1984.
· 권오룡.「문학사회학의 이론과 실제」,『존재의 연명』, 문학과 지성사, 1989.
· 김경수.「한수산 초기소설의 사회적 유민의식」,『문학의 편견』, 세계사, 1994.
· 김병익.「70년대 소설을 어떻게 볼 것인가」『상황과 상상력』문학과 지성사, 1979.
· ―――. 『지성과 문학』, 문학과 지성사, 1982.
· ―――. 「가난한 사람들의 가난한 사랑」,『오늘의 한국문학 33인선, 조해일』, 양우당, 1988.
· 김영덕.「한국신문소설의 윤리성 연구」,『한국문화연구원 논총』제17집, 1971.
· 김우종.「문학의 상업주의적 추락」,『광장』, 1980.10.
· 김유창.『심미적 이성의 탐구』, 솔, 1992.
· 김윤식.「<70년대>의 의미」,『우리문학의 넓이와 깊이』,서지헌, 1979.
· 김종철.「상업주의 소설론」,『80년대 대표평론선, 역사, 현실, 그리고 문학』, 김병걸·채광 석 편, 지양사, 1985.
· ―――.『변동사회와 작가』, 문학과 지성사, 1979.
· 김주연.「산업화와 문화충격」,『문학을 넘어서』,문학과 지성사, 1987.
· ―――.「산업화의 안팎」,『김주연 평론 문학선』, 문학과 지성사, 1992.
· ―――.「문학과 문학사회학」,『문학과 지성』, 1977 가을.
· ―――.「여성해방과 소설」,『문학사회학을 위하여』, 문학과 지성사, 1979.
· ―――.「초월적 힘, 혹은 파괴적 힘」,『신한국 문제작가작품선집 5, 조해일 선집』, 어문각, 1983.
· 김태현.「베스트셀러의 사회적 조건」,『열린세계의 문학』문학과 지성사, 1988.
· 김 현.「대중문화 속의 한국문학」,『월간세대』, 1978.5.
· ―――.「풍속적 인간」,『전체에 대한 통찰』, 나남, 1990.
· ―――.『한국문학의 위상/문학 사회학』, 문학과 지성사, 1991.
· ―――.『우리 시대의 문학/두꺼운 삶과 얇은 삶』, 문학과 지성사, 1993.
· 김화영.「모래와 안개, 그리고 섬으로 가는 길」,『모래위의 집』나남, 1992.
· 대중문학연구회 편.『대중문학이란 무엇인가』, 평민사, 1995.
· 문병호.『아도르노의 사회이론과 예술이론』, 문학과 지성사, 1993.
· 문학사와 비평연구회 편.『1970년대 문학연구』, 예하, 1994.
· 박동규.「자연의 피부와 죽음의 아름다움」,『한국현대문학전집 32, 황석영, 김병총, 한수 산』, 삼성출판사, 1984.
· 박성봉.「대중예술과 고급예술의 생산적 이분법을 위하여」,『문학과학』, 1995. 봄.
· ―――.『대중예술의 미학』, 도연, 1995.
· 방민호.「대중문학의 '복원'과 민족문학의 갱신」,『실천문학』, 1995. 가을.
· 백낙청.『현<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