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주여성의 개념
1) 이주민
국가 간 활발한 교류와 세계화 진행에 따라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한국으로 이동하는 외국인 이주민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이주’란 개인이나 종족, 민족과 같은 집단이 본래 살던 지역을 떠나 타지역으로 이동하여 정착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강수향(2011)은 이주에 대해 개인이나 집단이 지리적으로 이동하여 체류, 또는 정주하는 것이라 정의하였으며, 이에 따라 이주민을 한국을 제외한 타국에서 이동하여 한국에 체류, 또는 정착하여 살고 있는 사람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이러한 이주민을 입국한 목적에 따라 결혼이민자, 외국인근로자, 외국인유학생, 결혼이민자 및 외국인 근로자의 자녀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김희선(2009)은 이와는 달리 이주와 이주민에 대한 정의를 단순한 거주방법, 출생국가와 거주국가의 차이, 체류목적, 이동성의 문제에만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고 보았다. 즉, 이주와 이주민의 경우 동일 국가 내 이동 및 정착과는 달리 자국민과의 다름에 대한 차별이나 배제, 포용 및 평등 등의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져 있기 때문에 이 용어들을 정의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을 종합해 보면 이주민이란, 타국을 떠나 한국으로 이동하여 체류하거나 정착하고 있는 사람인 동시에 본래의 국적이 다른 것에 대한 한국 사회의 가치관이나 시선 및 이로 인한 직?간접적인 영향권 아래에 놓인 사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겠다.
2) 결혼이주여성
한국사회의 이주자들의 입국 형태는 주로 노동자와 국제결혼으로 나타나는데 이 중 최근 들어 이주의 여성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주여성이란 노동을 목적으로 입국한 ‘여성 외국인 노동자’와 한국인 남성과의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 국적을 취득한 ‘외국인 여성’을 포괄하고 있다(김영란, 2006). 국제결혼을 통한 여성결혼이민자의 증가와 이로 인한 이들 여성의 국적 다양화는 비단 한국 사회에만 국한되는 현상은 아니다. 우리와 인접한 일본, 싱가포르 등 경제적인 발전을 이룬 여러 아시아 국가에서도 이러한 현상들은 나타나고 있으며 일시적인 현상으로 그치지 않고 당분간 지속되리라 예측되고 있다(윤구원, 2012).
· Srikes ing on, 2008,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 차이- 갈등 경험.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강현, 2012, 여성 결혼 이민자의 삶과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권복순·차보현, 2006, 농촌지역 코시안 가정주부의 의사소통능력 문화적정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제 58권 3호, pp 109-134.
· 김명준, 2012,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미라, 2009,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필요성에 관한 연구, 광주여자대학교사회개발대학원석사학위논문
· 김범수·서은주·손병돈·정재훈·조석연 외 3인, 2007,『다문화사회복지론』, 경기도: 양서원.
· 김석향․김병숙․박정란, 2004, “북한이탈여성의 직업의식의 현황과 제언”, 대한YMCA.
· 김선아, 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인권실태와 개선방안, 전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세훈, 2006, "다문화사회의 문화정책",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김영란, 2006.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의 삶과 사회문화적 적응관련 정책,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제 45권 1호, pp143-189.
· 김영수, 2000, “북한 이탈주민의 가족문제,” 󰡔사회과학연구󰡕, 제9권.
· 김이선․김민정․한건수, 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 갈등 경험을 통해 본 문화간 소통의 현실", 「한국사회의 새로운 갈등구조와 국민통합」,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학술세미나 발표논문집. 10월 19-20일: 131-160.
· 김철유, 2011, 층화추출에서 추정방법에 따른 배정법의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태현․노치영, 2003, “북한이탈 여성들의 삶 이야기: 해석학적 현상학을 통한 중국생활 체험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제41권 8호, pp.1~17.
· 박은진, 2007, “국제결혼 이주 여성들의 문화적응과 스트레스 그리고 심리적 건강”,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2009, 결혼이민자 현황, 2009. 8.
· 법무부, 2011, 출입국 외국인 정책 통계. 출입국 외국인 정책본부.
· 서수균, 1996, “자기집중적 주의, 실제 자기개념 및 자기안내자 선호성을 고려한 자기불일치”,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설동훈·김윤태·김현미·윤홍식·이혜경·임경택·정기선·주영수·한건수,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 송인숙, 2003, “지역사회 정신건강에 대한 주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인진, 1999, 탈북자의남한사회적응실태와정착지원의새로운접근, 한국사회학, 33, pp 511-549.
· 이금순, 2006, 여성이주자의 사회적응과정 연구 : 북한이탈주민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 여성연구, 제 45권 1호. 191-234
· 이영선․구혜완․한인영, 2011,학술논문분석을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특수성, 평화문제연구소, 제23권 2호, pp147-193
· 이영호, 1993, “귀인양식, 생활사건, 사건귀인 및 무망감과 우울의 관계: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태옥, 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 가족과 사회적 지지망 연구:영광지역 여성을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혜경, 2007, “이민정책과 다문화주의 - 정부의 다문화 정책평가.” 동북아시대보고서.
· 임옥경, 2009, “결혼이민여성의 외로움, 결혼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미영, 2005, “정신질환자에 대한 정신건강 전문요원의 태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영아·전우택·구현지, 2008, “탈북 여성들”『웰컴투 코리아: 북조선 사람들의 남한 살이』, 한양대학교 출판부.
· 최송미, 1999, “한.중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정신건강에 대한 비교연구 : 한국, 중국 조선족, 중국 한족 대학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통계청, 2009, 「2008 혼인통계」.
· 행정안전부, 2008, 결혼이민자 현황, 행정안전부 내부자료, 200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