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소설] 현진건과 최서해 연구
- 최초 등록일
- 2002.12.08
- 최종 저작일
- 2002.12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1현진건
생애
작품연구
문학적 의의
2.최서해
생애
작품연구
문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빙허 현진건의 작품활동은 1920년 11월 단편『희생화』를《개벽(開闢)》에 발표함으로부터 장편
『선화공주』까지이다. 그로써 작가의 시대인식과 분노정신으로 집약된다. 일제의 욕구불만을 분노정 신의 소설화로 보상함으로써 피압박 민족의 비애와 분노를 사실적으로 증언했다. 동아일보 재직시에 손기정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우승의 일장기말살 보도사건에 관련돼 1년간 복역한 분노정신이 이를 증언해준다. 분노정신을 문학화함에 당시 문예사조인 사실주의를 수용함으로써 비교적 성과를 거두었 고, 특히 단편에서 괄목할 만한 기교를 보였다. 이런 현진건을 백철은 '조선의 모파상'이라고 했다.
1). 초기 소설세계 -<체험소설 (주로 1인칭)>
그가 문학활동을 하던 시기의 우리사회는 정치·경제·문화적으로 혼란스런운 때였다. 나라를 잃은 상
황에서 농촌 경제 상황은 어려웠고, 외국의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여 우리문화를 이룩하려는데 여러
가지 혼란이 나타났던 때였다. 작가는 이시기에 사회와 시민생활의 구체적인 문제에 관심을 사지면 서 소설에서 리얼리즘 정신을 확립 시켰다. 그는 『빈처』,『술 권하는 사회』,『타락자』등을 발표 하여, 근대적 지식인들이 당하는 갈등과 고통을 현실에서 문제삼게 된다. 시민사회에서 각 개인의 생 활은 자본주의 경제체제 속에 각자가 자기 식으로 살아가게 되는데 여기에 사랑과 돈과 직장의 문제 가 따르게 된다. 현진건의 초기소설은 이러한 문제를 작품화했다.
참고 자료
신춘호, 《최서해 궁핍과의 문학적 싸움》건국대학교 출판부
민병기ㆍ신춘호ㆍ한승옥,《현대작가 작품론》,집문당
조동일,《한국문학통사5권》,지식산업사
박철희ㆍ김시태 책임편집, 《한국현대문학사》,시문학사
현길언, 《식민지시대와 작가정신》, 건국대학교 출판부
윤병로, 《한국대표명작 현진건》, 지학사
현길언, 《현진건 소설 연구》,이우출판사
이준영, 《빙허 현진건 연구》,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