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와 사회집단] 스포츠와 사회집단
- 최초 등록일
- 2002.12.04
- 최종 저작일
- 2002.12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고생많이해서..작성한거예요..스포츠사회학..발표..요약..자료로도 좋구요..
리포트도 아주 좋다고 자부합니다.
목차
1. 스포츠 집단의 이해
1) 사회집단의 개념
2) 스포츠 집단의 개념
3) 스포츠 집단의 경쟁과 협동
2. 스포츠 집단의 환경
1) 스포츠 집단의 과제
2) 스포츠 집단의 규모
3) 스포츠 집단의 활동영역
3. 스포츠와 집단 구성
1) 집단 구성의 정의
2) 스포츠 집단 구성원의 특성
4. 스포츠와 집단 구조
1) 집단구종의 정의
2) 스포츠 집단구조의 요인
3) 스포츠 집단에서의 역할
4) 스포츠 집단의 규범
5. 스포츠 집단과 응집성
1) 응집성의 본질
2) 스포츠 집단 응집성의 구성요인
3) 스포츠 집단 응집성의 영향
본문내용
⑴ 사회집단의 정의
집단은 특수한 사회관계에 의하여 결합된 두명 이상의 모인 집합체를 말하며 구성원 사이의 특수한 사회적 관계와 상호의존 및 행동 관련성 그리고 구성원 간의 동질감을 그 특징으로 한다.
집단의 대한 정의는 학자에 따라 다양하다.
집단은 상호반응하는 개안의 단위이며 개인의 타인과 영향력을 주고 받는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두 사람이상의 인간 무리 일 뿐만 아니라, 집단성원 간의 상호의존 의식과 공동운명체 의식을 지닌 집합체로 정의된다. 이러한 집단이 사회적 구속력과 의미를 지니고 규정됨으로써 사회집단의 성격을 띠게 되므로 결국 사회집단이란 어떤 공통의 속성을 지닌 사람들이 모여서 지속적으로 반복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형성된 인간 집합체이다.
일반적으로 인간 집합을 가리키는 개념으로는 사회집단과 함께 '사회범주' , '조직체' , '관료조직체' 등이 있으며 이들은 약간의 상이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① 사회적 범주는 단순히 특정 속성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무리를 의미하기 때문에 사회집단은 사회적 범주의 하위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학생 자체는 하나의 사회적 범주에 속하지만 공통의 관심사와 지속적인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 체육과 학생은 ' 우리 '라는 공동체적 소속감을 지닌 사회집단이다.
② 조직체는 특정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구성된 인간집합을 의미하기 때문에 사회집단의 하위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③ 관료 조직체는 위와 같은 조직체 중에서 대규모로 발전되고 형식적 특성이 고도화된 조직체를 의미하여 정부기관, 대기업체, 종합병원 등이 그 전형적인 예이다.
따라서 사회집단이란 사회적 범주의 하위개념이자 조직체의 상위개념으로서 공동의 목표와 관심을 지닌 성원이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형성된 인간집합체 라고 할 수있으며 또한 집단의 총체적 분석과 집단 성원 중심의 개별적 분석을 통해 그 개념이 이해될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