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장 서론
제 1절 문제제기
최근 들어, 한창 TV, 신문, 인터넷 등을 뜨겁게 달군 소식들이 있다. 그것은 바로 국내산, 수입산 식품에서 말로 형용할 수 없는 이물질이 발견되어 소비자들의 건강과 위생을 위협한 사건들이다. 이처럼 먹거리가 우리의 건강과 위생적인 삶을 위협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 가지 더 우리가 인식해야하는 중요한 산업분야는 생활용품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먹거리와 마찬가지로 인체에 직, 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생활용품 산업은 하나의 제품군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크게 치약이나 칫솔 등의 구강용품, 샴푸와 린스 등을 포함한 모발용품, 세탁세제와 섬유린스의 세탁용품, 기저귀와 물티슈 등의 지류용품, 주방세제 등의 주거용품 그리고 비누와 스킨케어 등이 포함되는 피부용품 등으로 나뉘고 각 부문 별로 특징도 다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세분화된 시장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용품 산업을 하나로 보고 진행할 것이다.
그러면 지금부터 생활용품 산업의 전반적 특성을 언급하겠다. 생활용품의 경우에 자동차, 가전제품, 통신기기 등과는 다르게 제품의 가격이 큰 차이가 없고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을 가지고 있는 생활에 필수적인 품목이다. 즉 상품구매에 있어서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하는 고몰입 제품이 아니라 소비자의 기호와 편의성, 마케팅 등에 있어 브랜드간의 전환율이 높은 저몰입 제품이라는 것이다. 이 말은 필수품이기 때문에 수요가 많고 그 만큼 경쟁사들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제품의 성장률이 더디고 각 기업들이 크기변동이 많이 없는 시장을 놓고 그 안에서 점유율을 올리기 위한 판촉활동을 하면서 경쟁강도는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소비자들의 건강과 위생에 영향을 미치는 분야인 만큼 전 세계에 불고 있는 참살이(Well-Being), LOHAS열풍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도 중요한데 이는 생활용품 산업에서의 구매동기와 직결되는 부분이므로 빼놓을 수 없는 특징 중 하나이다.
· 1. 연구 자료
· * 경영전략실 최순화 수석연구원, 1등 P&G의 3가지 핵심 이유, CEONEWS∙삼성경제연구소 공동기획.
· *물류혁신사례 한국P&G,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02).
· * 유호현, 인도 저가시장 성공전략, LG주간경제, LG경제연구소, (2004).
· * 이상규, 전략적 브랜드 포트폴리오 구축, LG주간경제, LG경제연구소, (2002).
· * 이연수, 브랜드도 구조조정이 필요하다, LG주간경제, LG경제연구소, (2004).
· * 이연수, Marketing as Strategy(Understanding the CEO`s Agenda for Driving Growth and Innovation, LG경제연구원, (2004).
· * 이연수, 불황기의 마케팅 성공 전략, LG주간경제, LG경제연구소, (2004).
· * Annual Review, Unilever, (2006).
· 2. 서적 자료
· * 김복현, 이것이 장사다, 거름, (2004).
· * 김익수, 중국 시장 마케팅, 박영사, (2004).
· * 김주호, PR의 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 * 니르말야 쿠마르(김상욱, 전광호 역), CEO에서 사원까지 마케팅에 집중하라, 김영사, (2006).
· * 라이터스, 생필품 1위 기업 ‘유니레버’, (2005).
· * 오상봉, 세계 일류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을유문화사, pp158-159 (2000)
· * 조원익, 실패한 마케팅에서 배우는 12가지 교훈, 위즈덤하우스, (2005).
· * 찰스 L. 데커, Winning with the P&G99, 네오넷코리아, (2003).
· * 찰스 L. 데커(홍길표 역), P&G power(원칙중심의 99가지 성공비결), 영언문화사, (2002).
· * 하야시 히로시게, 국경을 넘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 * Aaker, David A, 데이비드 아커의 브랜드 경영, 비즈니스북스, (2003).
· * Aaker, David A, 브랜드 포트폴리오 전략, 비즈니스북스, (2004).
· * Aaker, David A, 브랜드 자산의 전략적 경영, 비즈니스북스, (2006).
· * Davis Dyer, Frederick Darzell, Rowena Olegario, 브랜드 제국 P&G, 기획출판 거름, (2005).
· 3. 언론 자료
· * 김현상, 서울경제, (2008. 1. 17).
· * 김지미, 매일경제 (2008. 3. 14).
· * 스타 마케팅, 헤럴드경제, (2004. 11. 4).
· * 월간광고정보 (2008. 2).
· * 임미진, 중앙일보, (2007. 4. 23).
· * 전원경, 세계 최고 브랜드, 무엇이 다른가(12) - 피앤지, 동아일보, (2006).
· * 파워마케팅, <8>LG생활건강 ‘엘라스틴 샴푸’
· 4. 웹 자료
· * 유니레버 코리아 http://www.unilever.co.kr
· * 한국 피앤지 http://www.pg.co.kr
· * LG생활건강 http://www.lgcare.com
· * LG경제연구원 http://www.lger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