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제와 필립스곡선
- 최초 등록일
- 2002.11.30
- 최종 저작일
- 2002.1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필립스곡선 [ Phillips curve ]
2) 신 필립스 곡선 논쟁
본문내용
한 사회의 성장 또는 안정의 척도를 이야기할 때 주로 기준이 되는 지표라면 물가와 실업을 빼놓을 수 없다. 그러나 과거부터 물가와 실업은 동시에 이룰 수 없는 역의 관계에 놓인 것을 경험으로 알 수 있었고 이를 이론화 한 것이 필립스 곡선이다. 필립스 곡선은 완전고용과 물가안정이라는 두 가지 정책 목표의 모순을 보여주며 현실 경제를 잘 반영하고 설명하는 이론으로 받아들여져 왔지만 곧이어 발생한 스태그플래이션에 의해 한 차례 수정이 가해진다. 스태그플래이션이 물가상승과 실업률 증가라는 두 가지 악재를 동시에 일으킨 현상이라면 정반대의 현상이 몇 년 전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를 강타해 이슈가 되었다.
고성장속의 저인플레가 가능했던 90년대 미국 경제 현상을 대변하는 신경제의 등장이 그것이다. '신경제(New Economy)'란 단어의 기원은 1980년대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엔 '제조업보다 서비스에 의해 주도되는 경제'를 일컬었다. 그러나 1990년대 초반 이후 비즈니스 위크, 파이낸셜 타임즈 등이 신경제를 '기술 주도의 고성장 저인플레 경제'라는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여기에 그 의미를 더해가며 신경제란 용어는 사용되고 있다. 신기술의 개발은 새로운 단어를 만들뿐만 아니라 생활 방식과 경제구조를 바꿔놓기도 한다. 또한 새로운 경제 이론도 만들어진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