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부터의 도피' 를 통해 본 현대사회의 문제점
- 최초 등록일
- 2002.11.30
- 최종 저작일
- 2002.1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노력많이한 리포트 입니다..^^
목차
I. 시작하는 말
II. '자유로부터의 도피' 에 대한 요약
III. '자유로부터의 도피'를 통해 본 현대 사회의 문제점
IV. 마치며
<참고 문헌>
본문내용
어떻게 현대인들은 이렇게 되었을까? 지금까지 인간은 '자유'를 갈망하였다. 처음에 인류는 자연에 대한 억압의 상태에서 '자유롭고' 싶었다. 인류는 농업이 시작하면서 본격적이 정착생활을 하였고 자연의 속박을 하나하나 벗어 던지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농업의 결과 잉여 생산물이 생겼으며, 농업을 하는데 있어 관개사업이나 농사를 짓기 위해 기후를 극복하기 위한 많은 힘을 집결시킬 필요가 있었다. 그런 힘을 모을 수 있는 강자는 지배자가 되었으며, 이때부터 초기의 정치가 시작되었다. 이 때부터 인류는 자연에 대한 억압 뿐 만 아니라 인간에 대한 억압에 대해 신경을 써야하는 처지가 되었다. 인류는 이러한 인간의 억압도 마침내 떨쳐내었다. 하지만 그것은 형식적인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인간은 자유로운 존재가 되었지만, 자유롭기 때문에 고독해지고 무력해졌다. 그리하여 다시 어딘가에 복종하고 싶고, 자신의 자유에서 도망치고 싶어하고 있다. 에리히 프롬은 이러한 억압을 외적인 억압과 내적인 억압으로 설명한다. 인류가 외적인 억압을 제거하고 자유를 찾는데 노력함은 지금까지의 역사를 보면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외적인 억압이 제거되면 될수록, 내적인 억압은 오히려 증가한다. 이러한 내적인 억압은 바로 무력감과 고독감이다. 인간은 이러한 것들을 피하기 위해 두 가지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참고 자료
임지현 외. 2000. {우리 안의 파시즘}. 서울: 삼인
최진섭. 1999. { (한총련을 위한 변명) 희망에 反하여 희망하라 } . 서울: 살림터
편집부. 1988. { 학생 운동 논쟁사 1 } . 서울: 일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