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의 정체성 확립에 대한 이론 분석과 장애를 일으키는 요인의 고찰
- 최초 등록일
- 2002.11.29
- 최종 저작일
- 2002.11
- 2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Ⅰ. 서론
1. 문제 제기
2. 연구 목적 및 방법
Ⅱ. 자아 정체성의 이론 분석
1. 자아 정체성에 대한 여러 가지 이론들
Ⅲ. 장애의 요인 분석
1. 메스 미디어
2. 교육 환경
3. 가정 환경
Ⅳ. 청소년 범죄와의 상관관계
Ⅴ. 개선 방안
1. 메스 미디어
2. 교육 환경의 개선
3. 가정 환경
Ⅵ. 결론
본문내용
청소년은 미래사회의 주역이며 청소년기는 미래사회의 주역이 되는데 필요한 자질을 계발하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우리 사회의 미래는 오늘날의 청소년이 건전하게 성장하느냐에 달려있다고 한다.
유아 및 아동기에는 주로 가정을 중심으로 한 소규모집단에서 사회화과정이 수행되나 청소년기에는 사회화의 영역이 가정을 넘어 학교, 친우집단, 사회 등으로 광범위하게 확대되면서 청소년기는 성인기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사회생활 적응에 따르는 많은 문제들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청소년들은 점차 부모에게 의존하려는 태도나 행동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태도나 행동을 추구하고 가족 내 접촉이 줄어들고 가족 외부의 친우 집단, 학교 그 밖의 사회환경과의 접촉이 증가함에 따라 여러 가지 갈등이 일어나게 된다. 또 산업사회로 발전하면서 점점 분업화되고 전문화되며, 광대한 정보는 청소년들을 학교와 시험으로 내밀었으며 점차 교육의 시간이 길어지게 되었다. 입시 위주의 교육풍토는 상급학교에 진학하기 위해서 눈뜨고 잠잘 때까지 계속 공부만 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주눅들고 시들시들해지며 소극적으로 변하게 한다.
참고 자료
강복환, 1999, 청소년 탈선과 전파매체, 공주교대 연구 논문
김종탁, 1992, 대중 매체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및 대책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문수지, 1996, 결손 가정 청소년의 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숭실대 석사학위 논문
허숙, 1994, 학업성적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교육학회 연차 발표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