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죽음의 미학
- 최초 등록일
- 2002.11.29
- 최종 저작일
- 2002.11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죽음의 미학에 관하여
2. 영화와 죽음
3. 영화의 발달사적 의미와 장르영화
4. 전쟁영화와 죽음
1) 전쟁영화의 장르적 특성
2) 전쟁영화 속의 죽음
4. 공포영화와 죽음
1) 공포영화의 장르적 특성
2) 공포 영화 속의 죽음
5. 멜로 영화와 죽음
1) 멜로 영화의 장르적 특성
2) 멜로 영화 속의 죽음
6. 홍콩 느와르 영화와 죽음
1) 느와르 영화의 장르적 특성
2) 홍콩 느와르 속의 죽음
7. 죽음, 현실과 가상에서의 극복
본문내용
느와르 영화 역시 공포영화처럼 독일 표현주의 영화의 영향을 받은 영화 장르라고 할 수 있다. 독일 표현주의 영화의 전형적인 암울한 분위기의 영화적 스타일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는 느와르 영화는 갱스터 영화와는 구분될 수 있는데, 1920년대부터 당대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자리잡은 갱스터 영화는 '갱스터=악당'이라는 공식 아래서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적 기제로 사용되었다. 이에 반하여 필름 느와르는 50년대 프랑스의 비평가들에 의해 그전에는 인정받지 못하던 헐리우드의 B급 영화를 작가주의라는 이름 아래 하나의 장르로 탄생한 것으로 그것은 주로 미학적인 면의 완성에 대한 것이었다.
주제나 등장인물, 내러티브 등을 보면 둘은 더욱더 확실히 분리된다. 갱스터들은 단순한 논리를 지닌 산업사회의 희생양들이다. 그들은 언제나 '악'의 편에 서며 궁극적으론 죽음으로써 파멸한다. 권선징악을 벗어나지 못하는 내러티브인 반면, 필름 느와르의 주인공은 한가지 개념으로 짚어 낼 수 없는 허무하면서도 퇴폐적인 인생관을 가지고 등장한다. 가치관의 점이 지대에서 그들은 어떠한 것도 선택할 수 ㅇ벗고, 광적인 폭력만이 반향으로 남을 뿐이다. 결국 음울하고 허무한 색채로 느와르는 표현되게 된다.
참고 자료
이원곤 저, 『영상기계와 예술』, 현대미학사, 1996.
존 스토리 저, 박모 역,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현실문화연구, 1994.
구회영 저, 『영화에 대하여 알고 싶은 두세 가지 것들』, 한울, 1991.
피터 브룩스 저, 이봉지 외 역, 『육체와 예술』, 문학과 지성사, 2000.
진중권 저, 『춤추는 죽음』, 세종서적, 1997.
조르주 바타이유 저, 조한경 역, 『에로티즘의 역사』, 민음사, 1998.
수잔 헤이워드 저, 이영기 역, 『영화사전』, 한나래, 1997.
문화학교 서울 공저, 『불타는 필름 연대기』, 문화학교 서울,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