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환경친화적 건축
- 최초 등록일
- 2002.11.28
- 최종 저작일
- 2002.11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머 릿 말
1. 식물이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
1) 건축물 보호효과
2) 냉난방비 절감
3) 선전·집객(集客) 및 이미지 연출의 효과
2. 환경 친화적 건축의 개념과 목표
1) 환경 공생 주택의 개념
2) 생태 건축의 개념
3) 환경 친화적 건축의 정의
3. 주거환경과 식물
1. 직장이나 작업공간에서의 식물
2. 실내 온습도 조절
3. 실내 공기오염조절
4. 정서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5. 장식적 가치
6. 여가 활동(레저)
맺 음 말
본문내용
머 릿 말
원래 처음 레포트를 쓸려고 할 당시에는 '원예치료'에 대한 것을 쓸려고 하였다. 그런데 '도서출판서원'에서 나온 '원예치료(Horticultural Therapy)'란 책을 보던 중 의외의 사진에 관심이 쏠리게 되었다. 그 사진은 일본 동경빌딩의 '옥상정원'과 '벽면녹화'사진 이었는데 평소 건축학도로서 요즘 건축의 동향이 '환경 친화적 건축'으로 가고 있는 것을 알고 있었으나 평소에 그것에 대해 그렇게 깊이 생각하지는 않았었다.
그래서 기회가 된 김에 식물이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에 덧붙여 요즘 현대건축물이 지향하고 있는 '생태주의 건축'에 관해, 그리고 우리의 주거환경에 대해 식물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1. 식물이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
도시인들의 하루 생활의 대부분은 회색공간에서 이루어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높게 치솟은 건물, 거침없이 펼쳐진 도로, 흙먼지가 일지 않는 광장과 대형주차장들 사이에서 우리들의 눈은 초록의 녹지를 필요로 하고 있지만 주변에서 푸르름을 찾기란 쉽지 않다. 이때 특수녹화 공법으로 조성된 옥상정원이나 실내정원 혹은 도로변의 분식물들은 우리의 오감(특히 시각이나 취각)을 자극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참고자료>
1. 신제 가정원예-교재 저자대표-이종석, 곽병화 외
2. 원예치료(Horticultural Therapy) 저자대표-손기철 외
3. 탈(脫)건축으로서 생태건축의 추구 저자-고주석 외
4. http://www.metro.seoul.kr 서울갤러리 (우수마을 선정 부분)
5. 그 외 인터넷 자료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