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성진, “녹색 산업의 경제 파급 효과와 국토관리전략”, 월간국토 327호, 국토연구원, 2009.
· 국제연합환경계획 한국위원회, www.unep.or.kr.
· 국토위원회, “제4차 국토종합계획”, http://www.krihs.re.kr.
· 권대봉, 「녹색성장 녹색직업 녹색인재」, 서울: 박영사, 2009.
· 김승택, “녹색일자리(Green Job)의 정의와 창출방안", 한국노동연구원, 노동리뷰, 2008.
· 김윤호,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개념정립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1권 1호, 2010.
· 김예승, 김봉준, “지역 활성화를 위한 자연어메니티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2009.
· 녹색성장위원회, “2010년 녹색성장 7대 실천과제”, 제7차 녹색성장위원회, 2010.
· ______________,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여야 합의 국회 통과”.
· http://www.greengrowth.go.kr
· 미래기획위원회, “미래한국리포트 제6차 보고서", http://future.sbs.co.kr
· ______________, 「녹색성장의 길」, 서울: 중앙북스, 2009.
· 박용규,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지역경제 활성화”, 삼성경제연구소, Issue Paper, 2009.
· 박용규, 주영민, 최홍, “지역활성화의 새로운 대안, 커뮤니티 비즈니스”, CEO Information, 728호, 2009.
· 사카이 겐이치, 김해창 역, 「환경을 넘어서는 실천사상 어메니티」, 도서출판 따님, 1998.
·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 송영필, “지역활성화 정책의 현황과 발전방안”, 삼성경제연구소, Issue Paper, 2005.
· 유상오, “그린 투어리즘을 통한 농촌지역활성화와 환경정비방안”, 관광농업연구 제8권 제2호,
· 한국농촌관광학회, 2001.
· 윤영석, 박철한, “건설산업의 국가경제 기여도 및 녹색건설사업의 경제파급효과”, 한국건설산
· 업연구원, 건설이슈포커스 09-07호, 2009.
· 이사 아쓰시, 마쓰오 다다스 등 저, 진영효 역, 「시민이 참가하는 마치즈쿠리 :커뮤니티 비
· 즈니스 편」, 한울아카데미, 2007.
· 이정일, “삶과 환경을 바꾸는 녹색생활”, 삼성경제연구소, Issue Paper, 2009.
· 이지훈, “녹색성장시대의 도래”, CEO Information, 675호, 2008.
· 이진우, 이은주, 「제5의 물결 녹색인간」, 경기도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2009.
· 임창희, 「조직행동」, 서울: 비앤엠북스, 2008.
· 전영옥, “어메니티가 도시경쟁력이다”, CEO Information, 384호, 2003.
· , “농촌활성화를 위한 농촌어메니티 정책의 방향”, Issue Paper, 2003.
· 차명제, “주민 자발적 마을 공동체 만들기로 녹색성장", 대한지방행정, 지방행정, 2009.
· 편집부, “녹색성장의 힘 그린IT가 뜬다”, 월간 유비쿼터스 53호, 2010.
·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년도 콘텐츠사업설명회자료”, http://www.kocca.kr
· 호소우치 노부타가, 정정일 역, 「우리 모두 주인공인 커뮤니티비즈니스」, 이매진, 2008
· Jill Kubit, Michael Renner, Sean Sweeney, “기획특집-녹색 일자리 : 녹색 일자리 현황”, 한
· 국노동연구원, 국제노동브리프, 2008.
· Nicholas Stem,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 The Stem Review(Cambridge and
·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 U.N. SBCI, “Background”, www.unepsbci.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