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채호,「조선역사상 일천년래 제일 대사건」,『조선사연구초』,1929;『단재신채호전집』 (하), 을유문화사, 1972
· 김상기,「묘청의 천도운동과 칭제건원론에 대하여」.『국사상의 제문제』 6. 국사편찬위원 회, 1960.
· 리용중,「토론;묘청의 활동과 그의 반란에 대하여」,『력사과학』1964-2
· 김윤곤,「고려귀족사회의 제모순」,『한국사』7, 국사편찬위원회, 1973
· 윤남한,「고려전기의 민족사상의 특질」,『한국민족사상대계』2, 고려대아세아문제연구소, 1973
· 하현강,「고려 서경고」,『고려지방제도사연구』, 1977
· 문성렵,「12세기 묘청일파가 주장한 서경천도와 건원칭제문제에 대하여」,『력사과학』1980-3
· 김연옥,「고려시대 경주김씨의 가계」,『숙대사론』11‥12합집, 1982
· E. J. Shultz.「한안인파의 등장과 그 역할 - 12세기 고려 정치사의 발전에 나타나는 몇 가지 특징-」. 『역사학보』 99, 100합. 역사학보, 1983.
· 김준석,「김부식의 유교사상-삼국사기 논찬의 검토」,『한남대학 논문집』14, 1984
· 김남규.「고려 인종대의 서경천도운동과 서경반란에 대한 일고찰」.『경대사론』 1. 경남대 학교사학회, 1985.
· 박성봉.「고려 인종기의 양란과 귀족사회의 추이」. 『고려사의 제문제』. 삼영사, 1986.
· 노명호.「이자겸 일파와 한안인파의 족당세력 - 고려중기 친속들의 정치세력와 양태 -」.『한국사론』 17.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87.
· 정진석 외 공저, 『조선철학사연구』, 광주신서, 1988
· 채웅석,「12,13세기 향촌사회의 변동과 `민`의 대응」,『역사와 현실』3, 1990
· 강성원,「묘청의 재검토」,『국사관논총』 13, 1990.
· 정구복.「김부식」.『한국사시민강좌』 9. 일조각, 1991.
· Edward J. Shultz.「김부식과 삼국사기」.『한국사연구』 73, 1991.
· 남인국.「고려 인종대 정치지배세력의 성분과 동향」.『역사교육논집』 15. 경북대, 1991.
· 문철영,「고려중기 사상계의 동향과 신유학」,『국사관논총』37, 1992
· 정수아,「고려중기 개혁정책과 그 사상적 배경」,『수촌박영석교수화갑기념 한국사학논총』 (상), 1992
· 박종기.「12세기 고려 정치사 연구론」.『택와 허선도선생정년기념 한국사학논총』, 1992.
· 박종기,「예종대 정치개혁과 정치세력의 변동」,『역사와 현실』9, 1993
· 서성호,「숙종대 정국의 추이와 정치세력」, 『역사와 현실』9, 1993
· 오영선.「인종대 정치세력의 변동과 정책의 성격」.『역사와 현실』 9, 1993.
· 송진환.「묘청의 풍수지리사상과 불교관에 대한 연구」. 『교남사학』 7. 영남대학교 국사 학회, 1996.
· 이강래,『삼국사기 전거론』, 민족사, 1996
· 이정신.「고려의 대외관계와 묘청의 난」. 『사총』 45. 고려대학교 사학회 1996.
· 김병인,「김부식과 윤언이」. 『전남사학』 9. 전남사학회, 1996.
· 채웅석,『역사의 길목에 선 31인의 선택』, 푸른역사, 1999
· 도현철,「12세기 공사례와 김부식」.『한국사의 구조와 전개-하현강교수정년기념논총』. 하현강교수 기념논총간행위원회, 2000.
· 김당택.「고려 인종기의 서경천도, 칭제건원, 금국정벌론과 김부식의 《삼국사기》편찬」. 『역사학보 제170집』. 역사학회, 2001.
· 정구복.「김부식의 생애와 업적」.『정신문화연구』 8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1.
· 이강래,「삼국사기의 성격」,『정신문화연구』 8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