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일차사료
· 삼국사기
· 고려사
· 고려도경
· 2. 이차자료
· 강옥엽, 「고려 서경의 풍수지리적 고찰」, 국사관논총, 71, 1996.11.
· 국사편찬위, 한국사 16:고려전기의 종교와 사상, 국사편찬위, 1994.
· 국사편찬위, 한국사 21:고려후기의 사상과 문화, 국사편찬위, 1996.
· 금장태․유동식, 한국종교사상사 Ⅱ:유교․기독교편, 연세대 출판부, 1986.
· 김갑동, 나말여초의 호족과 사회변동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0.
· 김기대, 「고려 팔관회에 대한 연구」, 서강대 석사논문, 1989.
· 김두진, 「왕건의 승려결합과 그 의도」, 한국사총론 4, 국민대, 1981
· 김영미, 「불교의 수용과 여성의 삶․의식세계의 변화:고려시대 여성의 가정생 활을 중심으로」, 역사교육62, 1997.
· 김용곤, 「고려 현종대의 문묘종사에 대하여」, 변태섭 편, 고려사의 제문제, 삼영사, 1986.
· 김충렬, 고려유학사, 고려대 출판부, 1984.
· 김해영, 「조선초기 사전에 관한 연구」, 정문연 한국학대학원 박사논문, 1993.
· 김형우, 「원 간섭기 고려불교계의 동향」, 한국 불교사의 재조명, 불교시대사, 1994.
· 김형우, 「고려시대 국가적 불교행사에 대한 연구」, 동국대 박사논문, 1992
· 김형우, 「고려시대 연등회 연구:設行 실태를 중심으로」, 국사관논총, 55, 1994.9.
· 문철영, 「고려중기 사상계의 동향과 신유학」, 국사관논총, 37, 1992.
· 박호원, 「고려 무속신앙의 전개와 그 내용」, 민속학연구, 1, 1994.
· 박호원, 「고려의 산신신앙」, 민속학연구, 2, 1995.
· 변동명, 「고려후기 성리학의 수용과 승려의 유불관」, 국사관논총, 71, 1996.
· 서경수, 「나말여초의 신앙형태」, 한국종교학, 1, 1972.
· 서영대, 「무교, 도교, 풍수지리설」, 한국사특강, 서울대출판부, 1990.
· 양은용, 「고려시대의 도교와 불교」, 한국도교사상연구회 편, 도교와 한국사상, 범양 사 출판부,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