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국 전통 장례 문화

한국 전통 장례문화를 영화 `축제`와 `학생부군신위`를 보고 작성하였으며, 각 전문도서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한국 전통 5일장을 기본으로 하여 작성하였고 각 절차는 100% 신뢰할만큼 심도높게 작성하였습니다. 원광대 죽음학의 이해의 중간고사 대체 과제기도 하였고, 10명이 1조로 제출하는 조별과제였습니다...제가 다 했지만...
1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2.07.19 최종저작일 2012.03
15P 미리보기
한국 전통 장례 문화
  • 미리보기

    소개

    한국 전통 장례문화를
    영화 `축제`와 `학생부군신위`를 보고 작성하였으며,
    각 전문도서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한국 전통 5일장을 기본으로 하여 작성하였고
    각 절차는 100% 신뢰할만큼 심도높게 작성하였습니다.

    원광대 죽음학의 이해의 중간고사 대체 과제기도 하였고,
    10명이 1조로 제출하는 조별과제였습니다...제가 다 했지만...

    목차

    I. 서론

    1. 임종(臨終)
    2. 고복(皐復)
    3. 수시(收屍)
    4. 사자밥 (使者床)
    5. 발상(發喪)
    6. 전(奠)
    7. 습(襲)
    8. 소렴(小殮)
    9. 대렴(大殮), 영좌(靈座) 빈소설치
    10. 성복(成服)
    11. 치장(治葬)
    12. 천구(遷柩)
    13. 발인(發靷)
    14. 운구(運柩)
    15. 하관(下棺)
    16. 성분(成墳)
    17. 반곡(反哭)
    18. 초우(初虞)
    19. 재우(再虞)
    20. 삼우(三虞)
    21. 졸곡(卒哭)
    22. 부제(祔祭)
    23. 소상(小祥)
    24. 대상(大祥)
    25. 담제(禫祭)
    26. 길제(吉祭)

    II. 결론

    본문내용

    서론
    삶과 죽음. 지금이나 옛날이나 항상 껄끄러운 주제가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사람이 죽음을 맞이했을 때 남은 사람들이 예를 갖춰 장례를 치르는 것도 그 시대의 많은 영향을 받는다. 영화 ‘축제’를 감상하면서 삶과 죽음의 접점인 장례 절차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우리나라의 전통 유교사상에 입각해 만들어진 절차인 한국 전통 장례 문화를 알아볼 수 있었다. 특히 영화 ‘축제’에서 “유교는 다분히 현재적인 종교이다. 생활적인 계율이고 학문인 것이다. 유교에서 유일신은 조상뿐이며, 살아생전의 효는 계율이며, 죽어서의 효는 종교가 된다. 그런 의미에서 효는 크고 엄숙하다. 이러한 부분에서 유교가 종교가 될 수 있는 부분일 것이다. 장례는 규율과 종교의 접점이며 현세적 공격의 대상인 사람을 종교적 신앙인 신으로 바꾸는 유교적 방식” 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중략>

    15. 하관(下棺)
    상여가 장지에 도착하기 전에 장지에서 일하는 일꾼을 `산역꾼`이라 한다.
    산역꾼과 지관은 장지 근처의 바위나 개울가에 가서 술, 과일, 어포를 차려 놓고 `오늘 이산에 손님이 들어오니 산신께서는 손님을 잘 보살펴 달라`고 빌면서 산신제(山神祭)를 지낸다.
    그리고 묘를 쓸 자리에 명태를 막대기나, 삽에 묶어 꽂아 세우고 ,그 주위에 술을 뿌리고는, 개토제(開土祭)를 지낸다. 묘자리를 조성하기 위해 구덩이를 팔 때는 묘터의 상·중·하에 술을 붓고, 술을 부은 자리에 괭이로 각기 흙을 파기 시작한다.
    하관은 시신의 머리는 북쪽으로 발은 남쪽으로 향하게 하여 하관을 한다.

    <중략>

    26. 길제(吉祭)
    담제(禫祭)를 지낸 이튿날 날짜를 정해서 지내는데, (지금은 지내고 있지 않다.) 담제를 지낸 달 중에서 정일(丁日) 해일(亥日)로 정한다. 날짜가 정해지면 담제 때와 같이 먼저 사당에 고한다. 이때 입는 길복(吉服)은 3년상을 다 마친 다음에 입는 평복을 말한다.

    참고자료

    · 영화‘축제’[감독 임권택, 배우 안성기 외]http://www.kmdb.or.k 한국영상데이터베이스
    · 영화‘학생부군신위’[감독 박철수, 배우 최상 외]http://www.kmdb.or.k 한국영상데이터베이스
    · 그림으로 보는 한국 전통 장례 절차 http://blog.daum.net/nohcom/12316354
    · 부다피아 (한국 유교 장례 절차) http://www.buddhapia.com
    · 민속학술자료총서 427, 예 상·제례 8 [저자:정승모] 장택지에 나타난 조선후기 장례풍속 (원광대학교 도서관)
    · 장례(초상시)절차 http://blog.naver.com/uniflower?Redirect=Log&logNo=14001445723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3008
    · 장례의 상여 -아라한 취향정- http://blog.naver.com/mjk7574?Redirect=Log&logNo=3007829172
    · 전통이 숨쉬는 섬 (신안 비금도ㆍ하의도 장례) http://blog.daum.net/shinanbeauty/8175009
    · 우리민족 전통장례 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logId=5280583&userId=sy10088
    · 묘이장 납골당 http://4444.tv/jangree1.htm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