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AAP와의 차이점을 통해 알아보는 K-IFRS의 특징
- 최초 등록일
- 2012.07.15
- 최종 저작일
- 2012.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K-IFRS의 특징을 K-GAAP와의 차이점 위주로 작성한 글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일반적차이점
2)구체적차이점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오늘날은 세계화라는 단어를 굳이 말하는 것이 어색할 정도로 다국적기업들이 전 세계로 진출하고 있으며 자본시장의 장벽이 없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맞춰 기업의 자기소개서라고 할 수 있는 재무상태표와 이를 작성하는데 필요한 회계기준의 국제적인 통일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즉 경제의 경계가 사라지고 있는 시대에서 기업들이 모두 똑같은 조건으로 자신들의 경영상태를 평가받자는 것이다. 그리하여 국제회계기준위원회 IASB(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oard) 작성한 국제회계기준(IFRS)을 2001년 전 세계 기업에게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2007년 `국제회계기준 도입 로드맵`을 발표하였고 2011년부터 일반 상장기업과 금융회사를 중심으로 IFRS의 전면도입을 추진하였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공인회계사 및 세무사 시험에서는 K-IFRS에 관한 내용만을 출제하기로 결정하였다. 따라서 경영학을 전공하고 회계분야의 진로를 희망하고 있는 학생으로서 기존의 한국회계기준(K-GAAP)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의 차이점에 대해 파악하고 정확히 분석하여 회계학의 추세에 뒤처지지 않도록 학습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그렇다면 K-GAAP와 K-IFRS의 차이점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Ⅱ. 본론
1. 연결중심의 재무제표공시
기존의 K-GAAP에서는 개별재무제표를 주 재무제표로 보았고 연결재무제표는 부수적인 재무제표로 보았다. 하지만 K-IFRS가 도입되면서 연결재무제표를 주요재무제표로 삼았다. 그렇다면 이 둘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