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비무장지대안의 생태계 현황과 보호방안

비무장지대는 군사활동으로 훼손된 일부지역을 제외하곤 온대권에선 찾아볼수없는 자연생태계의 보고입니다
2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2.05.24 최종저작일 2002.11
20P 미리보기
비무장지대안의 생태계 현황과 보호방안
  • 미리보기

    소개

    비무장지대는 군사활동으로 훼손된 일부지역을 제외하곤 온대권에선 찾아볼수없는 자연생태계의 보고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비무장지대 형성 배경과 구조

    2. DMZ현황
    2-1. 일반 현황
    2-2. 도로 및 교통망

    3. 자연 현황
    3-1. 식생 및 식물상
    3-2. 조류
    3-3. 어류
    3-4. 곤충류
    3-5. 포유류

    4. 관광 및 문화 역사적 자원

    5. 비무장지대의 관리시각과 과제
    5-1. 비무장지대 관리시각 및 입장
    5-2. 비무장지대 관리를 위한 과제

    III. 결론

    IV. 인용문헌

    본문내용

    비무장지대는 군사 활동으로 훼손된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개발 활동이 미치지 않아 온대 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자연 생태계의 보고이다. 민족이 엄청난 대가를 치르고 보존한 비무장지대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현재에도 계속 되어지고 있다.
    21C를 맞이하는 우리에게 있어 남북 분단은 꼭 풀어야 하는 과제로 다가서고 있다. 냉전이 종식되고 동서 진영간의 첨예했던 대립 관계가 이제 협력 관계로 진전되는 이 시점에서 한반도에는 지난 50년간 서로 다른 체제가 남북한의 대립으로 이어지고 있고, 휴전선은 아직도 긴장과 단절의 상흔을 간직한 채 동족간 교류와 현실적 장애물로 남아 있다. 그러나 통일은 우리 앞에 얼마안있어 다가올것이고 곧 다가올 미래에 대비하여 국토의 중앙에 위치한 이곳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그러나 당장의 개발보다는 자연 환경과 자원 등의 정밀한 조사를 바탕으로 보존을 전제로 한 지속 가능한 개발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다만 국토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고려하고 이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가는 지역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이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합리적인 조정과 국민적 합의의 과정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비무장지대의 환경 보존과 조화로운 개발을 위한 방법 이전의 일반적인 현황 및 자연현황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한다.
    우리 나라와 같은 자원이 없는 나라에서 앞으로 21세기의 첨단 자원인 생물종다양성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현재의 인류는 자연 생태계의 역학과 작용을 유지하는데 점차 위협적인 존재가 되어 가고 있다. 인구 증가의 속도와 함께 경제 개발은 서식지의 파괴와 생물 다양성의 손실, 즉 전세계적으로 역사적인 대량 멸종을 가져왔다. 잇따라 생겨나는 과정은 인간의 생명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체제의 지속성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인류 이성의 파라독스를 상징하는 것이다.
    생물 다양성의 자원적 문제와 그리고 비무장지대를 관광 지대나 자연보존 지역으로 변화시킬 때 생겨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는 국민적인 교육의 문제이고 두 번째로는 법-제도적인 문제이다. 그리고 세 번째로는 보다 정확한 비무장지대 지역의 정보가 있어야 할 것이고 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학술적으로 지금보다 한 차원 높게 여러 사람에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이 비무장지대 지역을 연구하는데 더없이 좋은 자료가 되기를 빌고 머지않은 미래에 우리의 소원인 통일의 그날이 빨리 와서 북녘의 우리 동포와 환경을 생각하는 사람들과 진지하게 국가의 앞날을 위해 토론하고 연구할 수 있는 그날이 오기를 기대한다.
    이 논문이 통일을 하루빨리 다가오게 할 좋은 매개체가 되었으면 하고 정부나 생태 학자, 국민, 경제인이 모두 하나가 되어 발전적인 방법으로 비무장지대를 환경과 개발의 적절한 조화를 이루며 발전하기를 기원하며 이 논문을 쓰도록 하겠다.

    참고자료

    · Bronfman,A. M. 1977. "The Azove Sea Water Economy and Ecological Problem: Investigation and Possible Solution". in Environmental Effects of Complex Estuaries. White,G.F.(ed.). Westview press. Boulder. pp.39-58.
    · Boo, E. 1991. "Making Ecotourism Sustainable : Recommendations for Planning,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Nature Tourism : managing for environment. Whelan,T.(ed.). Washington D.C. Island press
    · Boo, E. 1990. Ecotoueism: The Potentials and Pitfalls. Washington D.C.: World Wildlife Fund-US.
    · Diamond, J.M. 1975. Assembly of species communities. in Ecology and Evolution of Communities. M.L. Cody and
    · J.M. Diamond(ed.).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Massachusetts. pp 292-314
    · Fish and Wildlife Service. 1984. an Overview of Major Wetland Fuction and Values.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Washington D.C.
    · Forman. R.T.T. and M. Godron. 1986. Landscape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p619
    · Hanmer, R. 1986. "Near Coastal Waters: Towards a New Consensus". in Estuary and Management : Tools of the Trade. McDonald, K. L.(ed.). Proceedings of Tenth National Conference. The Coastal Society. Bethesda. Maryland.
    · Noss,R.F. 1987. Protecting natural areas in fragmented landscapes. Natural Areas Journal 7:2-13
    · Ketchum, B. H. 1983. "Estuary Characteristics". in Estuaries and Enclosed Seas. B.H. Ketchum(ed.). Elsiver Since Publishing company. New York. pp1-14
    · Wilson, B. 1984. Systems: Concepts, Methodologies, and Applications, John Wiley & Sons. New York.
    · Gosselink. J.G, Odum.G.E, and Pope.R.M. 1974. The Value of the Tidal Marsh. Center for Wetland Resources. Louisiana State University. Baton Rough.
    · Ryel, R and Grasse, T. 1991. Marketing Ecotourism: Attracting the Elusive Ecotourist. Nature Tourism: managing for environment. Whelan, T(ed.). Washington D.C. Island press
    · Drake, S. P. 1991. Local Participation in Ecotourism Projects. Nature Tourism: managing for environment. Whelan, T(ed.). Washington D.C. Island press
    · 한국관광공사. 1997. 생태관광의 이론 및 실제.
    · 강원개발. 1997. 민통선접경지대의 생태계보전과 지역사회활성화
    · 유정칠. 1996. 생태관광과 환경철학. 제13회 기독학문학회-자연과학분과.
    · 양홍모. 이태희. 1996. 비무장지대의 육역 및 하구 환경의 지속가능한 계획과 관리. 한반도 비무장지대의
    · 환경보전과 개발에 관한 국제심포지움. 한국조경학회.
    · 이인제. 1996. 관련단체의 입장과 기대
    · 허태학. 1996. 개발/보전사업의 민간참여 방안
    · 우한정. 1996.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의 자연 자원의 보존과 이용
    · 문석기. 1996 DMZ재관: 한반도 비무장 지대의 현황과 과제
    · 성천문화재단. 1996. 야생의 보고 비무장 지대. 현암사
    · 한국관광공사 . 1995. 북부지역 관광자원 활용방안
    · 환경부. 1995. 비무장지대 인접지역 자연환경 정밀조사서
    · 양홍모. 1995a. 하구 환경의 생태적 설계. 한국조경학회지. 23.2(58):167-181
    · 양홍모 1995b. 공간재개발의 생태적 접근. 환경과조경. 84: 63-68
    · 한겨레신문. 1995, 7,13. 비무장지대 생태기행<상> 동물편
    · 한겨레신문. 1995, 7,20. 비무장지대 생태기행 <하> 식물편
    · 김계중. 1995. “한민족의 평화를 위한 자연보전지역 시스템과 새로운 금수강산”. 비무장지대의 생태환경 보존을 위한 국제토론마당.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 환경처. 1992 비무장지대 인접지역 자연생태계 조사 보고서
    · 국토통일원. 1973. 비무장지대의 공동개발방안
    · 이민호. 1996. 자연정책의 발전방향, 야생동물 자연방사 학술세미나. 중앙개발
    · 국토통일원. 1972. DMZ평화이용과 남북 재결합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