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만길, 한국근대사, 서울, 창작과 비평사, 1980
· 김용섭, 조선후기 농업사연구(Ⅰ,Ⅱ), 서울, 일조각, 1984.
· 김용섭, 18,9세기의 농업실정과 새로운 농업경영론, 대동문화연구 제 9집, 성균관대학교 대 동문화연구원, 1972.
· 김옥근, 한국토지제도사연구, 서울, 대왕사, 1980.
· 박종근, 다산 정약용의 토지개혁사상의 고찰, 봉건사회해체기의 사회경제구조, 서울, 청아 출판사, 1982.
· 송주영, 성호 이익의 경제사상, <아세아연구> 제12권 제4호(통36호), 1982 12.
· 송찬식, 조선후기의 농업에 있어서의 광작운동, 한국사론문선집(조선후기편)Ⅴ, 역사학회 편, 일조각, 1976.
· 송찬식, 조선후기의 농업사 연구에 대하여, 역사학회, 1970.
· 이영래, 실학파의 경자유전론, 건국대학교, 낙원지 제14집, 1979.
· 유원동, 다산의 전정논고(체암 유홍렬박사 화갑기념논총, 탐구당, 1971.
· 이을호, 다산경학사상연구, 을유문화사, 1978.
· 정석종, 다산 정약용의 경제사상-토지개혁안을 중심으로-
· 한우근, 정다산 연구의 현황, 서울, 민음사, 1985.
· 한우근, 조선후기의 사회와 문화, 을유뮨화사, 1961.
· 김용섭, 다산과 풍석의 양전론, 한국사연구 제11호, 한국사학회, 1974, 9.
· 박종홍, 한국에 있어서의 근대적인 사상의 추이, 대동문화연구 제1집, 성균관대학교 대동 문화연구원, 1963.
· 송주영, 성호 이익의 경제사상, <아세아연구> 제12권 제4호(통36호), 1982. 12.
· 송찬식, 조선후기 농업에 있어서의 광작운동, 한국사론문선집(조선후기편)Ⅴ, 역사학회편, 일조각, 1976.
· 송찬식, 조선후기의 농업사 연구에 대하여, 역사학회, 1970.
· 이경식, 17세기의 토지개혁과 지주제의 전개, <한국사 연구> 제9호, 1973. 3.
· 이영훈, 조선후기 토지소유의 기본구조와 농민경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2.
· 강만길,「다산의토지소유관」,『다산의 정치경제사상』, 창작과 비평사, 1990.
· 김광진, 「다산 정약용의 사회 경제사상」, 『정다산 연구』, 한마당,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