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행본>
· 공병호, 1997, 「시장경제와 그 적들」, 자유경제기업센터.
· 임현진, 2002,「21세기 한국사회의 안과 밖- 세계체제에서 시민사회까지」, 서울대출판부.
· Stijn Claessens and Thomas Glaessner, 1997,「Are financial sector weaknesses undermining the East Asian miracle?」,《World Bank》
· Vinod Thomas and Peter Stephens, 1994,「The East Asian economic miracle」, 《World Bank》
· Wade, R, 1990, 「Governing the Market: Economic Theory and Role of Government in East Asian Industrialization」, Princeton Univ Press.
· Chang, Ha-joon, 2002,「Kicking Away the Ladder: Development Strategy in
· Historical Perspective」, Anthem Press.
· Chang, Ha-joon, 2006,「The East Asian Development Experience: The Miracle, the Crisis and the Future」, Zed Books.
· <논 문>
· 김광웅, 2005,「소강국이 한국의 미래모델」,《신동아》 2005년 1월호.
· 박병영, 2001,「위기의 발전 모델, 발전 모델의 위기: 한국 경제 위기의 재검토」,《동서연 구》제13집 2호, pp. 33~54.
· 박병영, 2003,「신자유주의 지구화의 진전과 발전모델의 변화」,《한국 사회학》, 제37집 2호, pp.123∼148.
· 박병영, 2003,「제2장 개발국가 패러다임의 적실성: 남한 발전 모델의 사례」《비교사회》 통권 제5호, pp. 35~66.
· 양재진, 2005,「발전이후 발전주의론 :한국 발전국가의 성장, 위기, 그리고 미래」,《한국행정학보》제 39권 제1호, pp. 1~18.
· 오승구·김득갑, 2003,「유럽식 경제모델의 성과와 한계」, 삼성경제연구소.
· 유석춘, 1998,「동양과 서양 그리고 자본주의」,《사상》통권 제36호, pp. 120∼136.
· 유석춘·장상철, 1999,「재벌정책의 정치경제: 개발국가에서 규제국가로?」한국경제연구원 기타 간행물, pp. 1~13.
· 유석춘·왕혜숙, 2007,「외환위기는 발전국가를 변화시켰는가- 공적자금을 중심으로」,《한 국사회학》제41집 5호, pp.64∼97.
· 윤상우, 2001,「동아시아발전 국가론의 비판적 검토- 한국의 경험을 중심으로」,《경제와 사회》통권 제50호, pp. 158~185.
· 윤상우, 2006,「한국 발전국가의 형성·변동과 세계체제적 조건, 1960~1990」,《경제와 사회》통권 제72호, pp. 69∼94.
· 윤상우·서평자, 2006,「한국형 발전모델의 역사적 해부: 신화를 넘어서」,《경제와 사회》통권 제70호, pp. 242~248.
· 이연호·임유진·정석규, 2002,「한국에서 규제국가의 등장과 정부-기업관계」,《한국정치학회보》제36 집 3호, pp. 199~222.
· 이연호, 2002,「한국에서의 금융구조개혁과 규제국가의 등장에 관한 논쟁」,《한국사회학》제 36집 4 호, pp. 59~88.
· 이재혁, 1998,「무엇이 잘못되었는가?- 구조적관점에서 본 외환위기와 한국적 발전전략」, 전기사회학 대회 발표문 요약집, 《한국 사회학》, pp. 201~216.
· 임현진, 1997,「종속이론은 죽었는가?- 한국의 발전위기에 대한 해석」,《경제와 사회》통권 제36호, pp. 77~101.
· 임현진·정일준, 1999,「한국의 발전경험과 성찰적 근대화」,《경제와 사회》통권 제41호, pp. 123∼ 151.
· 임현진, 2006,「한국의 발전경험과 대안모색- 새로운 발전모델을 찾아서」,《한국 사회학》 제40집 1호, pp.1∼31.
· 장상철, 1999,「한국 개발성장의 역설과 국가기업관계」, 전기사회학대회 발표문 요약집, 《한국 사회 학》, pp. 25~29.
· 전병유, 2002,「외환위기 이후 국가-자본관계의 변화- 발전국가의 잔재와 새로운 시스템의 모색」,《동 향과 전망》통권 제53호, pp. 100~123.
· 조희연, 1997,「동아시아 성장론의 검토- 발전국가론을 중심으로」,《경제와 사회》통권 제46호, pp. 46∼76.
· 황원기, 2006,「한국형 발전국가 모델에 대한 회고와 전망」, 전국사회학대회 논문집,《한국 사회 학》, pp. 443~444.
· <기 타>
· 국민경제제도연구원, 1991,《나라경제》, 별책부록<통계자료로 본 한국경제의 어제와 오 늘>.
· 경제개혁연대, 2008,「경제력 집중 심화와 한국경제의 다이내믹스(1): 2006년 말 기준 200 대 기업의 현황」,《경제개혁리포트》2008-5호, p. 1~16.
· 한국은행, 2007,「주력성장산업으로서 IT산업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한은조사연구》 2007-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