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통계포털 (2010). 청소년 통계:2010년 청소년 통계(2010년 6월 기준), http://kosis.kr.
· 구본권 (1991). "장애청소년의 심리적 특성과 사회통합", 학생생활연구, 17(1), pp. 149-171.
· 김동일, 이기정, 김원호, 신재현(2011). "장애대학생의 취업준비도 특성 : 비장애 대학생 집단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2(3), pp. 915-929.
· 김봉환(2007). "집단 진로상담 프로그램 여대생의 진로장벽 지각 및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8(4). pp. 1453-1465.
· 김성혜(2004). "성인기 중도지체장애인의 자아인식과 자아수용 간의 관계", 평택대학교 논문집: 18, pp. 121-142
· 김승아․권희경(1997). "특수학교 고등부학생의 장애유형에 따른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논집: 14(1), pp. 73-90
· 김은진(2001).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이 대학생의 진로 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자아 정체감 수준을 매개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충기(2000). "진로발달 접근을 통한 진로계획에 관한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10, pp. 135-182.
· 김현주 (2003). "청각장애근로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희수(2005).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父)의 양육태도와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결정과의 관계", 중등교육연구, 53(3), pp. 63-88
· 남숙경 외 5명(2008).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에 대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역할", 한국교육학연구: 14(1), pp. 205-223
· 문승태(2003).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과 심리적 변인간의 인과 관계",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박성욱(2005). "남자대학생의 병역의무수행계획과 진로발달의 관계 : 진로결정수준, 진로정체감,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수길(2000). "한국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변인과 개인변인에 관한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박완성(2002). "고교생의 진로자아효능감, 진로준비행동과 관련변인과의 관계: 심리적 독립성, 성역할 정체감,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고려대 박사학위
· 박현주․김봉환(2006). "고등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 행동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18(2), pp. 419-439
· 변용찬, 이정선 (2005). "취업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애인고용, 15(1), pp. 153-169
· 보건복지부(2010).장애인등록현황(2009년12월말 기준). http://stat.mw.go.kr.서혜석․이대식(2008). "신세대 병사의 진로발달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16(1). pp. 33-49.
· 어윤경(2009). “대학생의 직업포부변화와 지로상담이 개인차에 미치는 영향분석”. 상담학연구, 10(3), pp. 1555-1571.
· 오은경(2003). “사회적지지와 의사결정유형, 진로성숙도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육주혜 (2005). “정보기술분야에 장애인의 취업과 고용유지에 관한 탐색적 연구”, 특수 교육재활과학연구, 44(4), pp. 79-100
· 윤현희(2008). “장애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진로장벽이 진로포부 에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이기학(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자아존중감, 직업가치, 내외통제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이달엽․김태영(2005). “시각장애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 장애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연구발표자료: pp. 33-58.
· 이연미(2002). “대학생의 진로발달유형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장애와의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이은경(2001).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은경․이혜성(2002).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상담 및 심리치료:14(1), pp. 109-120.
· 이상희(2007). “진로장애와 진로성숙의 관계에 대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와 회적지지의 중재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19(2), pp. 375-392.
· 이옥경(2003). “장애대학생의 진로지도와 취업준비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28, 169-195.
· 이윤경(2010). “장애청소년의 진로결정수준에의 영향요인”,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지연(2001). “장애청소년의 진로교육을 통한 고용연계 강화”. 장애인고용. 39. pp. 44-67.
· 이현림(2007). 진로상담. 서울 : 양서원
· 이행렬(2007). "취업직종별 장애인 근로자의 직업유지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8(4), pp. 263-291
· 이행렬(2008a). "장애유형별 취업근로자의 개인적 특성, 직업훈련, 직업만족이 직업 유지기간에 미치는 영향: 뇌병변, 시각, 신장, 청각장애 근로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2, pp. 109-134.
· 이행렬(2008b). "여성 청각장애 특수학교 졸업 근록자의 개인적 특성, 취업경로, 직업훈련, 직업만족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9(4), pp. 145-170.
· 이행렬(2010). "장애청소년 근로자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애와 고용. 제21권 제1호(통권 70호). pp. 5-34.
· 임두순(1996). "진로교육에서 의사결정 이론 모형 고찰", 한국진로교육학회: 6, pp. 111-140.
· 정봉희(2008).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애착 및 자아정체감이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논단: 7(1), pp. 57-74.
· 조아미(2002). "청소년의 성별과 성역할정체감이 진로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14(1), pp. 91-108.
· 최웅용․윤현희․이정애(2009). "장애대학생의 학업적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고용 : 19(2),pp. 5-28.
· 한정용(2004). "청각장애인의 직업유지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한국고용정보원(2009). 진로교육실태보고서.
· 한국교육개발원(2008). 교육통계연보.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8). 생애주기별 장애인의 복지욕구 분석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