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진안군 마을 만들기 사업에 대하여

진안군 마을 만들기 사업에 관하여
2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2.01.02 최종저작일 2010.12
28P 미리보기
진안군 마을 만들기 사업에 대하여
  • 미리보기

    소개

    진안군 마을 만들기 사업에 관하여

    목차

    Ⅰ. 서론

    Ⅱ. 배경
    1. 이론적 배경
    1) 세계화 및 무한경쟁시대의 시작
    2) 종래의 지역사회개발의 한계
    3) 거버넌스 이론
    2. 진안군 마을 만들기 사업의 등장배경과 필요성

    Ⅲ. 현황
    1. 으뜸마을가꾸기 사업의 발전 및 체제구성
    2. 주요사업
    1) 에코투어리즘을 바탕으로 소득(일자리)이 창출되는 사업
    2) 마을간사제도
    3) 마을조사단
    4) 귀농귀촌 정착 지원
    5) 주민주도의 마을 만들기 정책
    3. 벤치마킹 사례

    Ⅳ. 진안군의 과제 및 나아가야 할 방향
    1. 과제
    1) 마을 만들기 사업성과를 무색하게 만드는 지방정부
    2) 실질적인 지역주민의 참여 결여
    2. 중?장기적 발전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등장 배경

    1. 이론적 논의

    1) 세계화 및 무한경쟁시대의 시작
    18세기 산업혁명을 지나 사회는 매우 급속한 속도로 발전·변화하고 있으며, 교통·통신의 발달로 심리적 공간의 거리가 크게 감소하게 됨에 따라 ‘세계화’라는 용어가 등장하게 되었다. 세계화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사회 전반에 걸친 활동이 국가경계를 넘어 전 지구적으로 확대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세계화’라는 현상이 도래함에 따라 국가의 역할은 축소하고 동시에 기업 활동의 중요성이 증대하게 되었다.
    ‘세계화’라는 변화와 함께 지역사회(community)의 중요성도 크게 부각되기 시작하였는데, 그 이유를 보자면 첫째, 작은 규모일수록 비교적 생존에 용이하게 되었다. 세계화라는 개방체제 하에서는 환경변화에 신속한 대응이 중요한 요인으로 폐쇄체제와 달리 개방체제 하에서는 변화에 신속히 대응치 못할 때는 도태되는 것뿐만 아니라 생존 자체의 위기를 불러올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작은 규모일수록 변화에 쉽게 적응할 수 있으므로 정부처럼 큰 규모가 아닌 상대적으로 작은 지역사회가 변화 적응에 용이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초국적기업과 시장의 등장을 볼 수 있다. 과학기술 중 특히 교통·통신의 발달에 따라 공간의 압축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사람들의 심리적 거리감이 감소하게 되어 사람, 물류의 이동이 활발해지게 되면서 국가경계를 넘어선 다국적, 초국적 기업 및 시장이 형성되었다. 동시에 초국적 기업의 유치가 생존의 중요한 요소가 되어 이러한 초국적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경쟁을 비롯한 무한 경쟁이 등장하면서 무한경쟁시대가 도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국가보다는 주체간의 거래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면서 지역특색을 가진 지역마케팅이 가능한 지역사회가 부상하게 되었다.

    참고자료

    · 단행본 및 논문
    · 곽동원(2008),「주민주도형 마을만들기와 행정의 역할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농업개발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구자인(2006),「농촌 살리기의 대안, “마을 간사” 제도」,『환경과 생명』2006년 봄호 (통권 47호), 179~192쪽.
    · ―――― (2007), 「주민주도 상향식의 농촌마을 만들기」,한국도시연구소.
    · ―――― (2009), 「일년 사시사철 마을축제의 천국, 진안 만들기」,『살기좋고 살고싶은 마을 만들기 55』, 진안군정소식지(2009년 9월호).
    · ―――― (2009)「현명하고 지혜로운 귀농귀촌의 방법론」, FAO한국협회 월간지『세계 식품 과 농업』9월호.
    · 김선기, 이소영(2007),「주민주도형 지역 만들기 추진 모형」, 한국지방행정 연구원.
    · 김정흠(2009),「농촌형 거버넌스 구축과 지방의회의 역할에 관한 연구 :‘진안군 마을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래한국재단(2008),「전라북도 진안군 마을 만들기 사업 :풀뿌리 마을 기반 강화를 통한 농촌 발전」, 미래한국재단 『지방자치』통권234호, 70-71쪽.
    · 송미령(2006),「농촌 지역혁신 사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55-164쪽.
    · 엄철호 외(2008),「지역기반 건축·도시프로그램 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코디네이터 기능 활성화 방안 연구: 지방정부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체제 구축을 중심으 로」,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연구논문, 165쪽.
    · 유민봉(2006),『한국행정학』, 박영사.
    · 이경엽(2004),「우리나라 그린투어리즘 현황에 관한 연구: 전북 능길마을과 충남 합전마을 을 중심으로」, 충남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상민(2008),「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사업이 도시계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광주 광역시 북구를 중심으로」, 광주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기석(2008),「"으뜸마을" 들의 지역공동체, 전북 진안군」,『인물과 사상사』 2008년 10 월호(통권 126호).
    · 진영환 외(2008),「시민이참여하는 살고 싶은 도시만들기 :전략편」국토연구원[편].
    · 진종헌 외(2008),「지속가능한 생태문화도시의 방향설정 및 추진방안」,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136-153쪽.
    · 임재현(2006),「지역개발의 과제」,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과학연구소, 『사회교육과학연구』 2006년 9권1호
    · 신문자료
    · 고재열,「‘귀농 행정’이 뭔지 제대로 보여주다」,『시사IN』, 2009.09.25.
    · http://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76
    · 구자인,「농사짓지 않는 귀농인이 필요하다」,『시사IN』, 2009.11.10.
    · http://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16
    · 구자인, 「“지역주민이 마을축제의 주인공??!!”」, 『진안신문』시론1, 2008.09.11
    · 권은정,「"귀농? 농사 지을 생각은 일찌감치 버리세요"」,『프레시안』, 2009.04.16.
    ·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090416094935
    · 김광오,「“물-바람-숲이 최고의 아토피 치료제”」,『동아일보』, 2010.01.26.
    · http://news.donga.com/3/all/20100126/25672510/1
    · 김민권,「진안 ‘그린 빌리지 만들기 사업’ 본격화」,『뉴시스』, 2008.02.10.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1955224
    · 김민권,「최초 마을축제…9박10일 대단원 막 올라」,『뉴시스』, 2008.08.07.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226710
    · 김성수,「진안군 그린빌리지 조성사업 추진」,『뉴시스』, 2010.01.29.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3066142
    · 김성수,「진안 귀농귀촌 사회적 일자리발굴사업 2개 업체 선정」,『뉴시스』, 2010.02.09.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3082030
    · 김성수,「진안 귀농귀촌 및 마을만들기 사례 ‘눈독’」,『뉴시스』, 2010.04.05.
    ·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00405_0004812639&cID=10808&pID=10800
    · 김용권,「아토피 퇴치 선봉서는 진안군, 양의학 대체의학 한의학 연계 관?학 협력체제 구축」,『국민일보』, 2010.04.14.
    ·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3604352&cp=nv
    · 김용완,「으뜸 녹색농촌체험, 진안 능길 마을」,『노컷뉴스』, 2005.02.10.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79&aid=0000025198
    · 김종량,「전북농협, ‘진안능길 자전거 체험마을’ 개장」,『연합뉴스』, 2009.10.01.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2894166
    · 남호철, 민태원, 김용권,「[생명 환경 나눔] 진안군 대규모 ‘아토피 치료단지’ 추진」,『국민일보』, 2008.02.15.
    ·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920812327&cp=nv
    · 박영민,「귀농지원 행정종합시스템 혁신브랜드 선정」,『 뉴시스』, 2006.06.30.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120299
    · 박용근,「‘귀농 1번지’ 전북 진안군의 성공사례」,『경향신문』, 2009.01.11.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1111751085&code=950312
    · 박임근,「수몰 악몽 딛고 공동사업으로 ‘웃음꽃’ 활짝」,『한겨레신문』, 2008.02.29.
    ·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272735.html
    · 음성원,「농촌체험학습+영어캠프 농협 ‘팜스테이 교실’ 운영」,『문화일보』, 2007.06.18.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7061801031124334002
    · 음성원,「정부 ‘귀농 지원책’ 어떤 내용 담았나」,『문화일보』, 2009.04.04.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9040401030724072002
    · 음성원,「“별 볼 일 없던 마을에 천문대 세웠더니 ‘별천지’ 됐지요”」,『문화일보』, 2010.01.28.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00128010326240720020
    · 음성원, 「“정겨움 보여주는 것이 체험마을의 미덕”」, 『문화일보』, 2010.01.28.
    ·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00128010326240720010
    · 이영노,「아토피치료제, 홍삼. 약초활용 제품 ‘생산’」,『아시아투데이』, 2009.03.09.
    ·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218787
    · 이영노, 「진안군 의욕 앞세운 각종 사업들 줄줄이 좌초」, 『아시아투데이』, 2010.02.04.
    ·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325585
    · 이윤승,「진안군, 귀농인 위한 `생태건축학교` 개강」,『연합뉴스』, 2009.01.07.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2442900
    · 이윤승,「진안 마이산예술단지는 애물단지」, 『연합뉴스』, 2009.11.13.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972861
    · 이윤승,「진안 능길마을 ‘생태마을’ 3회 연속 지정」,『연합뉴스』, 2010.01.25.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089844
    · 이윤승,「진안군 288개 마을, 퍼즐로 만나요」,『연합뉴스』, 2009.02.24.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519334
    · 이윤승,「진안 ‘한방약초센터’ 애물단지 전락」, 『연합뉴스』, 2009.11.26.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2995080
    · 이재문,「″진안으로 오세요″ 귀농1번지 프로젝트 떠오른다」,『국민일보』, 2007.06.11.
    ·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soc&arcid=0920563711&cp=nv
    · 임송학,「마을축제에 푹빠진 진안」,『서울신문』, 2009.08.01.
    ·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0801020016
    · 전경환,「<2010 농촌현장> 전문직 귀농(歸農) 열풍」,『연합뉴스』, 2010.03.28.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193183
    · 정대하,「흙냄새 가득 ‘진안 마을축제’ 오세요」,『한겨레신문』, 2009.07.27.
    ·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368134.html
    · 정연근,「[탈농에서 귀농으로, 농촌이 변하고 있다] ① 인구 증가하는 농촌 ‘이유있다’」,『내일신문』, 2007.12.12.
    · http://www.naeil.com/News/economy/ViewNews.asp?nnum=374826&sid=E&tid=5
    · 조문욱,「제주시, 우수시책 발굴위한 타 지역 벤치마킹 줄이어」,『제주일보』, 2009.04.23.
    ·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7136
    · 한승우, 「진안 마을만들기 퇴색시킨 호남정맥의 무분별 개발」, 『광주드림』, 2009.09.21.
    · http://gjdream.com/v2/news/view.html?news_type=208&code_M=2&mode=view&uid=408820
    · 인터넷 자료
    · 농림수산식품부 http://www.mifaff.go.kr/main.tdf
    · 진안귀농 일 번지 http://www.jinanmaeul.com/2009/02_refarm/frame.asp
    · 진안군청 홈페이지 http://www.jinan.jeonbuk.kr/
    · 진안군 마을축제 홈페이지 http://www.jinanmaeul.com/2009/02_refarm/frame.asp
    · 진안군 마을만들기 홈페이지 http://www.jinanmaeul.com/2009/02_refarm/frame.asp
    · 진안군 능길마을 홈페이지 http://www.nungil.org/
    · 팜스테이 홈페이지 http://www.farmstay.co.kr/web/guide/guide_4.jsp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