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안의 의사가 본 동양의학 줄거리 요약
- 최초 등록일
- 2011.12.21
- 최종 저작일
- 2011.03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목차
1. 동양 의학과 서양 의학
2. 인체 생리의 기본 성분
3. 인체의 장부와 그 조화
4. 경락
5. 부조화의 근원
6. 네 가지 진찰 방법
7. 여덟 가지의 기본 유형
8. 좀 더 정교한 유형판별
9. 동양 의학의 실제적 측면
본문내용
1. 동양 의학과 서양 의학
1) 음양론(陰陽論)
음양학설의 음과 양은 모든 사물에 존재하는 대립과 통일의 관계를 대표하는 의미를 가진다.
① 전일(全一) : 모든 대상의 내용물은 두 개로 나누어지며, 두 개가 합일될 때 그 본체는 완전 한 상태를 이루는 全一의 속성이 있다.
② 대대(對待) : 어떤 사물이든 모두 상대적으로 존재하며, 그 일정한 속성은 음과 양의 두 방면으로 나뉨. 이 상대성의 관계가 연속되면서 대비되는 상대에 따라 상태가 바뀌는 對待의 속성을 지님.
③ 통일(統一) : 음양의 상호관계를 관찰하면 음양은 상호호근인 하나의 통일체라 할 수 있다.
④ 분화(分化) : 음양속에 다시 음양이 있다는 속성으로 모든 사물에 내존 하는 상호대립의 연결, 즉 對待의 복잡성을 설명할 수 있다.
⑤ 소장(消長) : 음양의 상대적 관계는 정지한 것이 아니라 계속하여 상호대항, 상호작용하며 진퇴소장의 현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모든 사물에는 반드시 음양의 消長 변화가 있으며 변화하는 상태에서도 평형의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 ①②③은 음양의 자연 사물을 규정하는 속성을 나타낸 것이며, ④⑤는 음양의 발전과 변화의 속성을 나타낸 것이다.
2) 중국 미술과 동양 의학
의학과 마찬가지로 중국 예술 역시 자연구의와 도가 사상에 큰 영향을 받았다. 그러므로 모든 예술은 음양론에 포함된 균형, 조화, 변화를 표현하고자 했다. 예술가는 그런 시각과 기술을 사용하여 이상적인 균형과 조화를 화폭 위에 담아내고자 하지만, 의사는 그의 인지를 사용하여 부조화를 인식하고 균형을 회복시키고자 한다.
3)동양 의학에 대한 현대적 연구
오늘날 이미 여러 방면에서 동양 의학이 효과적인 치료법이라는 것이 입증 되었으며, 심지어 서양 의학이 고칠 수 없는 많은 병들을 치료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동양 의학은 실제 환자를 대항으로 한 임상 영역에서 더욱 효과가 있으며 개개인의 특성을 감안한 치료를 하므로 최고의 효과를 낼 수 있다.
4)옛날의 의학, 그러나 지금도 살아있는 의학
동양 의학의 역사는 <황제 내경> 이라는 모든 동양 의학이론의 근원이 되는 고전이 쓰인 이후로 이천 년이 넘지만, 오늘날까지 미학적 실용적 가치를 잃지 않고 있다.
2. 인체 생리의 기본 성분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