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투자론-채권
- 최초 등록일
- 2002.10.26
- 최종 저작일
- 2002.10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서론
Ⅱ. 채권시장의 구조와 현황
1. 채권 발행시장
1.1 발행시장의 구조
1.2 발행시장의 기능
1.3 회사채의 발행형태
1.4 국공채 및 특수채의 발행
1.5 채권발행 현황
2. 채권 유통시장
2.1 채권유통의 유형
2.2 채권의 공시 및 결제제도
2.3 거래소시장
2.4 장외시장
2.5 유통시장의 유형
3. 국제채시장
Ⅲ. 결론
4. 우리나라 채권시장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4.1 채권시장의 문제점
4.2 채권시장의 발전방향
본문내용
채권은 비교적 장기의 확정이자부 증권으로서 이자와 원금의 지급이 확실한 증권이며, 주식과 비교해서 안정성이 높은 차용증서이다. 기업은 채권의 발행으로 거액장기자금 지속적으로 조달할 수 있고 직접금융시장에서 수요 공급으로 금리가 결정되므로 채권발행은 은행차입보다 유리하다 할 수 있다. 은행의 차입은 금액과 만기에 한계가 있고 은행의 기업별 대출한도제 등으로 거액자금 지속확보가 어렵고 은행대출금리가 다소 자의적인 기준에 의해 결정되므로 채권발행은 기업에 보다 많은 장점을 부여한다고 볼 수 있다. 채권은 예금의 이자율과 같은 개념으로 채권의 투자성과를 평가함에 있어 채권수익률이란 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채권투자에서 발생하는 모든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고려함으로써 화폐의 시간가치를 감안한 개념으로 듀레이션(Duration)으로 평가한다. 채권의 가격과 채권수익률의 변화는 역의 관계를 가진다. 채권수익률의 종류로는 표면이율, 발행수익률, 유통수익률, 연평균수익률, 실효수익률, 세전수익률 등이 있다. 채권수익률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표면이자율, 잔존기간과 가격변동, 수익률 수준의 등락, 투자위험도 등이 있다. 2000년 7월부로 시가평가제가 실시되므로써 당일 채권금리에 따라 수익률이 변동하게 되어 투자자들의 투자를 활성화시키고 국제적 정합성을 높이게 되었다.
채권투자 위험의 종류로는 이자율변동 위험과 구매력 위험의 체계적 위험, 유동성 위험, 채무불이행 위험, 중도상환 위험의 비체계적 위험이 있다.
참고 자료
1) 정윤직,"채권총론", 전영사, 2000
2) 신동국, 이봉민, 금융자산 관리사, 캠퍼스21, 2000
3) 이경욱, 이정도, 투자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