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교통상통일위원회 내부문건
· 국방부, 「2010회계연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개요」, 2010
· 김용한, 「오키나와 미군기지 반환운동에서 배운다」, 『월간 ‘말’』, 1996
· 김원기, 「주한미군의 과거, 현재 및 미래」, 『군사논단』제10호, 1997
· 남창희, 「미일동맹의 강화와 주일미군 재배치의 전략구도」, 『국가전략』,제 11권 3호, 2005
· 남창희, 「주일미군 재배치와 일본의 대미동맹관리 정책」, 『국제관계연구』,제13권 제1호
· 남창희, 「주한미군 재배치 계획의 배경과 한국의 대응방향」, 『국가전략』, 제10권1호, 2004
· 남창희, 「한국의 적정 방위비분담 연구」, 2003
· 독일정부, 「프랑크푸르트 라인마인 공군기지와 게이트웨이 가든즈 주거단지의 반환과
· 슈팡달렘과 람슈타인 공군기지의 건설사업 집행과 재원조달에 관한 협정 – 라인마인 협정 」
· 박기학, 「특별기고: 불평등한 용산 미군기지 이전문제와 바람직한 방안」, 민주화 운동 기념
· 사업회, 『기억과 전망』, 2004
· 박한상, 「동두천시 미군기지 주둔 및 이전지연에 따른 지역경제 손실 분석」, 2010
· 이광길, 「주한미군기지이전 비용 `눈덩이` 」 , 통일뉴스, 2008년 10월 23일자
· 이상규, 「미군공여지 활용 및 관리 방향」, 『도시문제-특집: 미군기지 이전과 도시발전』,
· 2007년 1월호
· 장원석, 「오키나와 군사기지 건설과 주민 저항의 동인」,『대한정치학회학보』,
· 17집 2호, 2009년 10월:213~241
· 장원석, 「한국의 군사기지 갈등과 국내정치:평택 미군기지 갈등사례 분석」, 『국방연구』,
· 제51권 제3호, 2008, p35~59
· 조성렬, 「전시작전 통제권 환수 이후 주한미군의 규모와 역할 변화」, 『통일한국』, 2006
· 파주시, 「미군반환공여지 활용계획」, 국토연구원, 2004
· 한용섭, 「주한미군 기지이전과 전력증강」, 『통일한국』, 2003
· <보도자료>
· 김도윤, 「美2사단 이전 지연 ①경기 북부 `깊은 시름` ②공여지 개발 `악영향`」, 연합뉴스,
· 2009년 1월 11일자
· 이규호, 「춘천 캠프 케이지 개발 본격화」, 강원일보, 2009년 01월 31일자
· 임웅재, 「반환 미군기지 사업 9조 추가 투자」, 한국일보, 2009년 2월 2일자
· 경기신문 특별취재팀, 「[특별기획] 미군공여지 이렇게 활용하자」, 경기신문, 2007년 10월 23일
· 김인철, 「미군기지 주변 65곳 개발에 21조 투자」, 연합뉴스, 2009년 02월 02일자
· 김정수, 「짓지도 부수지도 않고 자연과 시간에 맡겼다」, 한겨레, 2006년 12월 1일자
· 양영동, 「주독미군기지 주변지역 탐방취재기」, 평택신민일보, 2005년 12월
· 문성규, 「서울 미군기지 4곳 1만 6천m^2 기름 오염」, 연합뉴스, 2009년 02월 22일자
· 최현준, 「녹색연합, 17곳 토양오염 확산에 2.7배로 늘어나」, 한겨레신문, 2008년 12월 03일자
· 서정환, 「미군기지 이전비 한국부담, 5조 아니라 12조」, 민중의 소리, 2008년 11월 07일자
· 홍장기, 「’미군기지 이전 16조’ 한국이 봉인가」, 내일신문, 2011년 03월 29일자
· 이광길, 「주한미군기지이전 비용 `눈덩이` 」, 통일뉴스, 2008년 10월 23일자
· 정명진, 「미군기지이전, 사용자부담 사례 공개돼」, 통일뉴스, 2004년 8월 20일자